라즈베리파이 4 #2

jjinny_0609·2023년 2월 28일
0

라즈베리파이

목록 보기
1/8

라즈비안 실행하기

SD카드에 복사한 라즈비안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1. SD카드를 레즈베리 파이 밑면의 슬룻에 연결합니다.

  2. 키보드와 마우스 HDMI 케이블을 연결하고 전원을 연결하면 램프가 깜빡이고 부팅이 시작됩니다.

  3. 완료되면 라즈비안 메인화면이 실행됩니다.

라즈베리 파이 환경 설정하기

와이파이 연결하기

  1. 라즈베리 파이3 에서 와이파이 연결하기
    라즈베리 파이 3에서 와이파이를 연결하려면 wifi-country를 GB로 설정해야 합니다. 라즈비안을 설치하면 wifi-country가 디폴트로 GB(영국)이 설정되어 있으니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오른쪽 상단에 보면 빨간색으로 X표시가 있는 곳이 있습니다.

와이파이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빨간색 X 부분을 클릭한 뒤 turn on wi-fi를 클릭하면 주변 와이파이가 검색이 되고 연결하면 아래와 같이 와이파이가 연결됩니다.

  1. 라즈베리 파이 4에서 와이파이 연결하기
    wifi공유기가 5G를 지원한다면 wifi-country를 대한민국으로 설정하고 5G가 되어있는 와이파이에 연결해야한다.
    [시작메뉴] - [Preference] - [Raspberry Pi Configuration] - [Localisation] - [Set WiFi Country] - [KR Korea(South)]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리눅스 기초 배우기

운영체제

운영체제(OS)

운영체제는 시스템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응용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추상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 웨어입니다.

대표적인 OS 종류
Windows
macOS
Linux

원격 접속을 위한 VNC와 Putty

VNC 설치

  1. VNC 공식홈페이지 경로로 이동
    https://www.realvnc.com/en/connect/download/viewer/

  2. OS에 맞는 버전 선택 후 다운로드 클릭

  3. 언어 선택 후 확인

  4. NEXT 클릭

  5. NEXT 클릭

  6. NEXT 클릭

  7. Finish 클릭 하면 설치가 완료됨

  8. 설치 완료!

  9. 설치가 완료된 프로그램 실행 결과


원격으로 연결하기

  1. 설치된 VNC Viewer에서 라즈베리 파이가 실행되어있는 ip를 검색해서 써 넣어준다.

  2.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후 ok를 눌러주면 연결이 된다.

  3. 원격으로 연결된 모습

putty 사용

  1.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링크로 이동해서 해당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 확인 후 다운

  2. 설치 진행

  1. 실행 완료된 모습

  2. Host Name: 라즈베리파이에 사용한 ip를 입력
    Save sessions : 저장할 세션 입력
    Open 누르면 정상적으로 실행됨.

    정상적으로 연결된 모습


5.![](https://velog.velcdn.com/images/jjinny_0609/post/1bcedd2a-09bc-49a1-a26b-a2cf30196ea3/image.png)

동일한 디렉터리에서 ls-l 명령어를 수행했을때 같은 값을 가지고 오는걸 확인할 수 있음.

리눅스 명령어

쉘(Shell)
command.com 파일을 운영체제의 쉘(Shell)프로그램이라고 말합니다. 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내린 명령을 운영체제가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로 해석하여 운영체제에 전달하는 일을 합니다. 그래서 명령어 해석기라고 불립니다.

Ctrl + Alt + T 단축키를 이용해 터미널을 열어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기본 명령어

  • date : 현재 날짜 및 시간을 확인

  • hostname : 호스트의 이름을 확인

  • clear : 쉘에 적힌 텍스트를 전부 지운다.

  • passwd :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

파일 및 디렉터리

파일 및 디렉터리

  • home 디렉터리 : 리눅스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기 때문에 각 사용자마다 별도의 홈 디렉터리가 있습니다. 각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는 계정을 만들 때 관리자에 의해 정해집니다.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미리 설정 된 홈 디렉터리에서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 pwd :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보여줌

  • mkdir : 새 디렉터리 생성

  • cd : 원하는 작업 디렉터리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한다.
    ex)

$ cd movie
$ cd ..
  • touch : 명령어를 통해 빈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touch 명령어는 빈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일 안에 내용은 없습니다.

  • ls 명령어 : 디렉터리의 내용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 ls -a : 숨긴 폴더와 파일 리스트를 볼 수 있다.

  • ls -l : 파일의 리스트를 상세히 볼 수 있다.

  • ls -al : 숨겨진 폴더나 파일의 리스트를 상세히 볼 수 있다.

  • cat 명령어 :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바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 head 명령어 : 파일의 앞 10줄을 출력해줍니다.

  • tail 명령어 : tail .파일명 / 파일의 맨 뒤 10줄을 출력해줍니다.

nano 에디터 사용하기

  1. nano [파일명].확장자명 으로 nano 에디터 실행
  2. 수정한뒤 ctrl + x를 이용해 나가기
    저장할껀지 물어보면 (Y/N) 작성후 빠져나오면 됨.
  3. 다른 쉘로 수정하기전에 파일을 열어두면 nano에디터로 파일을 수정하면 저절로 바뀌는걸 볼수도 있음.

파일 이동, 삭제, 복사 명령어

  • cp : 파일을 복사해주는 명령어이다.
    cp <복사할 대상> <복사될 위치>

cp read.txt /home/gt/webapps/ch02/read2.txt 명령어를 사용해서 read.txt를 read2.txt로 변경해서 복사

  • mv : 파일을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mv <파일명><이동할 위치>

    ch02에 생성한 myfile2.txt를 상위폴더 test로 이동시킴
  • rm : 파일을 삭제해주는 명령어이다.
    rm <파일명>


    파일이 아래와같이 삭제된 모습
  • r 옵션을 사용하면 디렉터리를 삭제할 수 있다.
    rm -r <디렉터리명>




파일 찾기 명령어

which : 특정 명령어의 위치를 전체 경로로 찾아주는 명령어이다.
which<명령어>

whereis : 실행파일, 소스파일, man 페이지 파일의 위치를 찾아주는 명령어이다.
명령의 위치를 찾습니다. 요청한 명령을 찾을 때까지 표준 프로그램 위치를 살펴봅니다.
whereis <파일명>

find : find 명령어를 통해 해당하는 이름을 가진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를 찾을 수 있다.
권한이 없어서 허가 거부라고 뜬다.

sudo를 붙이면 root사용자의 권한을 대행받아서 모든 폴더를 탐색한다.

profile
뉴비 개발자 입니다. velog 주소 : https://velog.io/@jjinny_0609 Github 주소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