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자료 구조 - 시간/공간 복잡도와 빅오 표기법

Janet·2023년 8월 29일
0

CS

목록 보기
12/17
post-thumbnail

자료 구조 (Data Structure)


자료 구조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수정, 탐색,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집합을 말한다.

추상적 자료형이 정의한 연산들을 구현한 구현체로 ADT를 본격적으로 구현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책장 속 책을 배열하는 방법)

1. 복잡도


복잡도는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로 나뉜다.

1-1. 시간 복잡도 (Time Complexity)

  • 시간 복잡도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입력의 함수 관계를 말한다.
  • 자료 구조의 오퍼레이션 혹은 알고리즘이 얼마나 빠르고 느린지 측정하는 방법인데, ‘실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많은 ‘절차 혹은 단계(steps)’로 있는가를 측정한다.
  • 시간 복잡도는 효율적인 코드로 개선하는 데 쓰이는 척도가 된다.

1-2. 공간 복잡도 (Space Complexity)

  • 공간 복잡도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 때 필요로 하는 자원 공간의 양을 말한다.
  • 정적 변수로 선언된 것 말고도 동적으로 재귀적인 함수로 인해 공간을 계속해서 필요로 할 경우도 포함한다.

2. 빅오 표기법 (Big O Notation)


  • 빅오 표기법이란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표기법으로 시간, 공간 복잡도 예측시 사용한다.
  • N값(인풋)의 증가에 따른 처리 시간 또는 필요 공간을 계산한다. 즉, 알고리즘의 직접적인 모든 연산 횟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닌 인풋의 증가에 따른 연산 처리 시간의 증가율을 예측하는 척도라고 할 수 있다.
    • 표기법: 일반적으로 상수와 계수를 제거하고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단순화하여 나타냄.
      • cf. 계수: 숫자 또는 문자의 곱에서의 숫자 (ex: 2x에서의 계수는 2)
  • 빅오 표기법의 장점: 연산 횟수 계산법을 하나의 일관된 형식으로 만들어주며 알고리즘의 런타임이 인풋의 증가에 따라서 어떻게 함께 증가 하는지에 대해 설명 가능해짐.
  • 시간 복잡도 순서: 0(1) < O(log n) < O(n) < O(n²)

2-1. 상수 시간(Constant Time): O(1)

  • 인풋이 늘어나도 변하지 않는다.
const arr = ['a', 'b', 'c', 'd'];

const printFirst = (arr) => {
  console.log(arr[0]);
} 

printFirst(arr);

// a (Step 1)
  • 위 예시처럼, arr의 아이템(인풋)이 늘어난다고 해도 출력하는 것은 1번 뿐이므로, 이 함수는 동일한 수의 step이 필요하다. 따라서 해당 경우 인풋에 따라 시간 복잡도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함수의 시간 복잡도는 상수 시간(constant time) = O(1)이다.
  • 만약 아래 예제처럼 5번의 Steps을 거친다고 해도 O(5)가 아닌 O(1)이다. BigO는 함수가 인풋 사이즈에 따라 어떻게 작동하는지 큰 원리를 중요시할 뿐, 함수의 디테일을 따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수는 신경쓰지 않는다.
const arr = ['a', 'b', 'c', 'd'];
    
const printFirst = (arr) => {
  console.log(arr[0]); // (Step 1)
  console.log(arr[0]); // (Step 2)
  console.log(arr[0]); // (Step 3)
  console.log(arr[0]); // (Step 4)
  console.log(arr[0]); // (Step 5)
} 
  • 이처럼 인풋 사이즈에 관계없이 Step이 정해진 알고리즘들의 시간 복잡도는 O(1)이다.

2-2. 로그 시간(Logarithmic Time): O(log n)

  • 예시) 이진 검색 알고리즘(이진 검색에서는 각 프로세스의 스텝을 절반으로 나눠 진행)
  • 로그 예제) 로그의 예제는 아래와 같다. 하지만 BigO는 특성상, 밑(base) 숫자는 제거한다.
n = log₂32
    
32 / 2 = 16 (1번)
16 / 2 = 8 (2번)
8 / 2 = 4 (3번)
4 / 2 = 2 (4번)
2 / 2 = 1 (5번)
    
따라서, n = 5
(2를 밑(base)으로 하는 32의 로그는 5)
    
하지만, BigO는 특성상 밑(base)의 숫자를 제거한다.
n = log32

2-3. 선형 시간(Linear Time): O(n)

  • 예제) 아래 예제의 arr의 길이는 5이며, for() 반복문을 통해 5번에 거쳐 요소들을 하나씩 출력하므로 5개의 Steps로 동작할 것이다. 배열이 커지면(인풋 사이즈가 커지면) 필요 스텝도 커진다. 따라서 해당 시간 복잡도는 O(n)이다.
const arr = ['a', 'b', 'c', 'd', 'e'];
    
const printAll = (arr) => {
  for (let n of arr) console.log(n);
}
    
printAll(arr);
    
// a (Step 1)
// b (Step 2)
// c (Step 3)
// d (Step 4)
// e (Step 5)
  • 만약 위 예제를 다음과 같이 해당 함수 내에서 for() 반복문을 두 번 반복한다고 해도, BigO는 상수의 디테일은 무시하기에 O(2n)이 아닌 O(n)이다.
const arr = ['a', 'b', 'c', 'd', 'e'];
    
const printAll = (arr) => {
  for (let n of arr) console.log(n);
  for (let n of arr) console.log(n);
}

2-4. 지수 시간(Exponent Time) / 2차 시간(Quadratic Time): O(n²)

  • 예제) 중첩 반복(Nested Loops)이 있을 때 발생. 루프 안의 루프에서 함수를 실행하므로 시간 복잡도는 인풋의 n^2이다.
const printTwice = (arr) => {
  for i of arr {
    for j of arr {
      console.log(i, j)
    }
  }
}

3. 자료 구조에서의 시간 복잡도


3-1. 자바스크립트 함수들의 시간 복잡도

method nameBig(o)
push()O(1)
pop()O(1)
shift()O(n)
unshift()O(n)
splice()O(n)
sort()O(n log n)
concat()O(n)
slice()O(n)
indexOf()O(n)
map()O(n)
filter()O(n)
reduce()O(n)

3-2. 자료 구조에서의 시간 복잡도

▼ 평균 시간 복잡도

자료 구조접근탐색삽입삭제
배열O(1)O(n)O(n)O(n)
스택O(n)O(n)O(1)O(1)
O(n)O(n)O(1)O(1)
이중 연결 리스트O(n)O(n)O(1)O(1)
해시 테이블O(1)O(1)O(1)O(1)
이진 탐색 트리O(log n)O(log n)O(log n)O(log n)
AVL 트리O(log n)O(log n)O(log n)O(log n)
레드 블랙 트리O(log n)O(log n)O(log n)O(log n)

▼ 최악의 시간 복잡도

자료 구조접근탐색삽입삭제
배열O(1)O(n)O(n)O(n)
스택O(n)O(n)O(1)O(1)
O(n)O(n)O(1)O(1)
이중 연결 리스트O(n)O(n)O(1)O(1)
해시 테이블O(n)O(n)O(n)O(n)
이진 탐색 트리O(n)O(n)O(n)O(n)
AVL 트리O(log n)O(log n)O(log n)O(log n)
레드 블랙 트리O(log n)O(log n)O(log n)O(log n)

Reference.

profile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