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stash : 작업 임시저장git stash list : 임시저장된 내역들 불러오기git stash apply 스택넘버 : 해당스택의 임시저장내역 불러오기git stash pop : 가장 최근에 저장한 내역 불러오기
갑자기 Cannot run program “node”: error=2, No such file or directory에러가 뜨면서 run-android 가 안되는 에러가 발생했다.온갖 방법 다 동원해보고 심지어 node 도 재설치해보며 몇시간을 삽질해봤으나 소득이 없었
Content-Type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로 요청받은 POST request를 하는데 서버쪽에서 받을때 에러가 발생했다.나는 a+b 라는 스트링을 보내는데 서버에는 a b로 들어온다고 한다.encodeURIComponent
JAVA version update 를 진행했는데 현재 작업중인 project 빌드가 되지 않고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What went wrong:Could not initialize class org.codehaus.groovy.runtime.InvokerHe
https://adrianmejia.com/data-structures-time-complexity-for-beginners-arrays-hashmaps-linked-lists-stacks-queues-tutorial/
현재 작업중인 안드로이드앱은 사용자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play store 에 등록할 수 없고, 링크를 통해서만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업데이트도 store를 통해서가 아니라 사용자가 앱을 실행시킬 때마다 앱의 버전이 최신화인지 확인한 후, 업데이트를 진행하게 된다
app상에서 카메라로 바코드 리딩을 하기 위해 react-native-camera library를 설치하였다.안드로이드용 앱이므로 안드로이드용으로만 적용했다.권한부여어두운경우에도 바코드를 찍을 수 있어 플래쉬모드는 항상 켜지도록 설정하였다.출처 https://
Name Version API 수준 Released 빌드 버전 코드Q 10.0 29 8 월 2020 BuildVersionCodes.QPie 9.0 28 8 월 2018 BuildVersionCodes.POreo 8.1 27 12 월 2017 BuildVersionCo
설치npm insall pm2 -g실행pm2 start \[파일명]실행중인 node 상태 모니터링pm2 monit 실행중인 node 종료pm2 stop \[파일명]watch 모드소스코드를 변경할때마다 알아서 버서를 껐다 키기 때문에 개발할 때 편리함코드변경 후 리로드
Intro 바코드 기기가 내장되어 있는 안드로이드 기기의 바코드 기능을 react-native 로 구현한 앱에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java로 작성된 sdk코드에 엑세스 해야 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native-module을 적용하게 되었다. java의 문외한인
\-D flag(--save-dev 의 shortcut) 해당패키지를 devDependencies 에서만 사용하도록 해준다. 개발용으로는 필요하지만 release 시에는 필요없는 경우에 해당한다.반대로 제품의 Release나 구동에 꼭 필요한 모듈의 경우(depende
현재 개발중인 앱 상에서 블루투스 마이크/헤드셋 연결 여부를 스크린에 표기해 달라는 요청이 있었다.블루투스 연결/해제를 앱 상에서 할 필요는 없고 연결이 잘 되어 있는지만 확인하면 되기 아래 두 가지 정도가 적합할 것 같았다.react-native-bluetooth-h
bluetooth 관련 라이브러리를 설치했다가 다시 제거한 후 run-android 를 했을 때, 앱이 꺼져버리는 현상 발생. 디버깅을 위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통해 run 해보니 E/SoLoader: couldn't find DSO to load: libreactn
리덕스의 FLUX 과정은 동기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api 통신같은 외부 리소스를 가져오는 경우에는 비동기적인 middleware 가 필요하다. yield 는 redux-saga effect 가 아닌 일반 generator 함수에서 사용되는 것 (코드 진행 중 yiel
websocket으로 음성인식 클라이언트를 작업하고 있는데, 실시간으로 websocket에서 받아온 음성인식 결과 내용을 State에 업데이트 하여 클라이언트상에 보여주고 있다.와중, 서버에서 같은 텍스트 결과를 여러번 보내는 것을 보고 같은 value로 state의
1월 중순부터 홀로 회사의 새로운 프로젝트에 투입되었다.웹도 아닌 앱 개발 프로젝트를 혼자 감당하는 것은 지금의 나의 수준으로서는 부족하다 생각되었으나 배우면서 충분히 할 수 있다는 CTO님의 말씀에 따라 부담없이(?)시작되었다. 빠듯한 일정에 비해 나의 실력은 아직
React, Typescript, Styled-component, redux-saga 를 사용한 첫번째 웹 개발 프로젝트가 슬슬 마무리 되어 가면서 두번째 프로젝트로 android 기반의 pda application 을 개발하게 되었다.걱정했던 바 대로, 레포를 클론하
react-native init --version 0.61.5(원하는 버전정보) 프로젝트명프로젝트 경로에서 npm start 를 해준 후 새 터미널을 추가해 react-native run-ios프로젝트 경로에서 npm start 해준 후 android studio 를
윈도우 유저로 살다 맥을 사용한지 얼마 안되어 더욱 힘들었던 리액트 네이티브 세팅을 드디어 끝냈다.이제 부지런히 인프런 강의 보면서 실습만 하면 된다. 연휴에는 인강이지 ...💁🏻
오늘은 필터 기능 작업을 했다.Dropdown 으로 구성된 여러가지 필터들과 검색창이 있고, 필터 옵션이 추가/제거/변경될 때 마다 그에 맞는 옵션들을 쿼리에 담아 api 요청을 해야 한다. 여러 필터들이 있고 구조는 이러하다.처음 코드를 작성할 때에는 filter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