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런타임입니다. 런타임 특정 언어로 만든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뜻함. 노드는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다. 쉽게 말하면 노드는 자바
ㄴㅁㅇㄹ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간단한 노드 서버를 만들어보자.res.writeHead는 응답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메서드이다.이 정보가 기록되는 부분을 헤더 라고 부른다.res.write메서드의 첫 번째 인수는 클라이언트로 보낼 데이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npm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scripts부분에 start속성은 잊지 말고 넣어야 한다. nodemon app을 하면 app.js를 nodemon으로 실행해야 한다는 것이다.nodemon이 실행되는 콘솔에 rs를 입력해서 수동으로 재
데이터베이스는 관련성을 가지며 중복이 없는 데이터들의 집합이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DBMS라고 한다.DBMS중에서 RDBMS라고 부르는 관계형 DBMS가 많이 사용된다.해당 명령어를 입력하여 스키마를 생성한다.use nodejs를 이용하여 node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항상 package.json을 제일 먼저 생성해야 한다.이후에 sequelize를 설치한다.템플릿 파일을 넣을 views 폴더, 라우터를 넣을 routes 폴더, 정적 파일을 넣을 public폴더가 필요하다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현재 프로그램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하는 접점을 의미한다.크롤링은 웹 사이트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API가 없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REPL Read, Eval, Print, Loop의 약자로, 브라우저의 콘솔 탭과 같이 노드에서 지원하는 콘솔이다. 하지만 역시 JS파일로 만들어 실행하는 것이 편하다. JS파일 실행하기 $node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테스팅 툴은 개발 시에만 사용하므로 -D옵션을 사용한다.package.json에는 test라는 명령어를 등록해 둔다.이 후 폴더 안에 middlewares.test.js를 만든다.테스트용 파일은 파일명과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socket.io는 웹 소켓을 활용한 라이브러리일 뿐이며 웹 소켓은 아니다.웹 소켓은 HTML5에 새로 추가된 스펙으로, 실시간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술이다.WS프로토콜을 사용한다.웹 소켓이 나오기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Command Line Interface콘솔 창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환경을 뜻한다.반대되는 말로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있다.$npx cli로 실행시킬 수 있다.더 나
해당 글은 Node.js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필요한 패키지 morgan & express-session process.env.NODE_ENV는 배포 환경인지 개발 환경인지 판단할 수 있는 환경 변수이다. combined모드는 dev 모드에 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