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함수와 return의 관계

Jimin_Note·2025년 7월 10일
0

[Python]

목록 보기
35/40

init() : 속성 초기화

2. return이란?

  • 함수의 실행 결과를 바깥으로 "반환해주는" 키워드
  • 함수가 값을 출력하고 끝나는 지점
def calculator(n1, n2):
    result = n1 + n2
    
    return result

3. return 값을 변수에 저장하는 구조

  • 함수 호출 결과를 변수에 담을 수 있음
returnValue = calculator(20,10)
print(returnValue) # 30

4. 실습

📚 삼각형&사각형 넓이 구하는 함수

def triangle(h,w):
	return (h*w)/2

def rectangle(h,w):
    return h*w
 
print(f"삼각형 넓이: {triangle(4,5)}")   #10.0
print(f"사각형 넓이: {rectangle(4,5)}")  #20

5. 회고

  • 함수에 대한 개념은 알고는 있었지만, 간단한 실습을 통해
    함수 설계 → 실행 → 결과 반환 → 변수 저장의 흐름이 명확해졌다.

  • 아직 긴 코드를 구현해본 게 아니라서,
    즉각적으로 변수에 선언해서 출력하는 방식이 더 익숙하지만
    다음 실습에서는 함수의 편리함과 재사용성을 더 체감해보고 싶다.

  • 앞으로는 print()보다는 return을 활용해서
    함수를 손에 익히고, 재사용 가능하게 작성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profile
Hello. I'm jimin:)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