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to fin. 컴공생의 여름방학 (~ing)

노지환·2021년 8월 18일
0

0. 발단

계기

- 과 스터디의 다음 회장이 되어라! -> 회장인데 뭘하면 좋을까?
- 우리 후배들의 발등에 취업이라는 불이 떨어질 때, 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없을까?
- 그러면서 지금의 나와 친구들에게도 도움될 프로젝트가 없을까?

이러한 계기들이 있었고, 이는
내가 지금 공부했고, 공부한 것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우리 스터디 친구들이 지금의 프로그램을 운영해보고, 개선 점이 있거나 추가사항이 있으면 스스로 팀을 짜서 프로그램을 유지보수 해나가면 좋겠다! 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그리고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자" 라는 결론이 나오게 됐다.

... 어떻게?

팀원은 모두 친구들로 이루어졌다.

안드로이드 개발 : 2명
백엔드 개발 : 2명

나는 백엔드를 선택했다.
또한, 판을 벌인 사람이 나였으니 당연하게도 팀장 역할을 하고 있다.

백엔드의 개발 프레임워크는 스프링으로 정했다.
잘만들어졌고 그만큼 어렵다는 스프링이 어떤지 궁금했어서 스프링으로 정했다.

그리고 최종적인 애플리케이션의 목표는
학생들이 현업에 나가있는 선배들에게 질문하는 질문게시판과
학교 생활을 공유하는 자유게시판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평범한 게시판과의 차별점은 태그를 이용하여,
좀 더 세밀하게 질문할 수 있고 질문 받을 수 있게 하려했다.

1. 개발과정

while(true) {
  1. 계획 세우기(회의)
  while(true) {
    (공부)
    2. 코딩 또 코딩
  }
  3. 개발한 거 맞춰봅시다. (회의)
}

개발과정은 1주일에 한번씩 이 루트대로 계속 진행되었다.
다들 처음이긴하지만, 규칙을 정하는 게 좋을 것 같았다.

- 언제까지 될 것 같은지, 언제까지 할 수 있는지 정확한 날짜로 말하기.
- 그저 만들기위한 코딩을 하는 것보다는 성장할 수 있는 공부로 프로젝트를 이용하기.
- 그리고 아닌 거 같거나 이상하면 무조건 말하기.

이렇게 정한 것에는 이유가 있다.

1. 이런식으로 진행을 안하면 어영부영 미뤄질 것 같아서.
2. 조금씩이라도 더 나아지는 프로그래머가 되고 싶어서.
3. 4명이서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상한 게 분명 나올 것 같아서. 

2. 그래서 무엇을..?

여기를 이제 포스팅들로 채울 예정이다.

공부한 것들

내가 구현한 api server의 기능들.

  1. jwt방식의 로그인(session방식과 비교해보자)
  2. post service
  3. pagination
  4. tag service

개발을 진행하며 느낀점.

  1. 클린코드를 짰나요?
  2. MVC패턴을 구현하는 방법
  3. 구현을 시작하기 전 회의에서 애플리케이션 개발팀과 맞춰야하는 것.(DTO)
  4. uri를 정리하자!

앞으로 적용해보고싶은 것들.

  1. TDD
  2. 배포 후의 운영.
  3. kubernetes
profile
기초가 단단한 프로그래머 -i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