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기에 앞서 정말 마음에 와닿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책 <함께 자라기> 중에서...
이번에 잘하냐 못 하냐 하는 것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아요. 앞으로 기회가 수백, 수천 번 더 있다면 말이죠!
충돌하는 것이 정상이고 그것이 야생학습이예요.
지금 잘햐나가 아니라 지금 자라냐(성장)는 것입니다.
누군가 옆에서 무엇을 해야할지 알려준다면 편하겠죠.
하지만 그런 상황이 평생 가능할까요?
지금 어떤 것이 나에게 필요한지를 판단해 나갈 수 있는 능력도 학습의 일부입니다.
우리 모두 조급해 하지 말고 나만의 길을 걸어가 봅시다.
<button type="submit"> 제출하기 </button>
기본 type은 submit입니다. 하지만 명시적으로 달아주면 좋겠어요!
HTML에서도 주석을 제거합시다..!
색상을 상수처럼 생각을해봅시다.
한 번 사용해도 디자인 시스템이 있듯이 모든 컬러를 다 관리하고 있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에 웬만하면 변수 처리하면 좋을 것 같아요.
어떠한 케이스들이라도 방어합시다.
- 요청을 정상적으로 보냈고, 응답도 바라는대로
- 요청을 정상적으로 보낼 수 없거나 기대하는 응답을 받을 수 없다.
- 네트워크 연결 끊겼을 때 (오프라인)
- 개발자 모드 네트워크 탭에서 Offline으로 변경해볼 수 있어요.
- 네트워크/서버가 느려서 지나치게 오래 로딩되는 경우(timeout)
- 개발자 모드 네트워크 탭에서 SuperSlow로 변경해볼 수 있어요.
- API 서버 에러
- API 키 할당 에러
- 정상 응답이 왔지만
- 응답 결과가 없을 때
- 응답 값에서 UI에 필요한 일부 데이터가 빈 값이거나 필드 자체가 없을 때
API 요청에서는 정말 다양한 경우들이 존재할 수 있겠죠? 이를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2가지 방식이 있었죠? Intersection Observer를 사용하는건 어떨까요?
변경 사항의 예시가 어떤 것이 있을지 정도는 생각해봅시다.
경험을 통해 내가 하는 개발이 너무 앞서나간 것인지, 확장성을 고려한 디자인인지 파악해 봅시다.
node-fetch / jest > jsdomjest-fetch-mockmswmocking 할 수도 있고..class는 필수가 아닙니다!
15라인과 같은 규칙은 라인 수보다 역할 분리에 집중합시다!
HTML은 간단한 문서에서 시작한 언어예요.
CSS는 스타일을 주는 것이고,
동적인 기능은 JS를 한 스푼 더한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