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 계층

Lee·2022년 2월 9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2

프로토콜

프로토콜은 규약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정한 규칙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웹에서 사용하는 HTTP가 있다.

TCP/IP 5계층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를 5계층으로 나누어 표준화한 것이다.

  1. Application layer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 있는 곳이다.
    • 도메인 주소를 32bit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DNS기능을 제공한다.
    • 이 계층에서의 패킷을 메시지라고 부른다.
  2. Transport layer
    • client와 server간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포트번호를 사용해 어떤 프로그램인지를 식별하게 한다.
    • TCP는 애플리캐이션에 연결지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 UDP는 애플리케션에 비연결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 트랜스포트 계층 패킷을 세그먼트라고 부른다.
  3. Network layer
    •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데이터그램이라 부른다.
    • IP 데이터그램의 필드를 정의해 종단 시스템과 라우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정의한다.
    •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그램이 이동하는 경로를 결정한다.
  4. Link layer
    • 링크 계층 패킷을 프레임이라 부른다.
    • 데이터를 경로상의 다음 노드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5. Physical layer
    • 물리 계층은 프레임 내부의 각 비트를 한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이동시킨다.
    • 링크 계층에 의존하며 링크 계층의 실제 전송매체에 의존한다.
profile
발전하고 싶은 백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