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문구이다.
if(불 값이 나오는 표현식) {
불 값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if 조건문의 기본 형태 ex)
<script>
// if 조건문
if (273 < 100) {
// 표현식 273 < 100이 참일 떄 실행한다.
alert('273 < 100 => true')
}
//프로그램 종료
alert('종료')
</script>
실행 결과
if 조건문의 오전과 오후 구분하기 ex)
<script>
//변수를 선언한다.
const date = new Date()
const hour = date.getHours()
// if 조건문
if (hour < 12) {
// 표현식 hour < 12가 참일 때 실행한다.
alert('오전입니다.');
}
if (hour >= 12) {
// 표현식 hour >= 12가 참일 떄 실행한다.
alert('오후입니다.')
</script>
실행 결과
if (불 값이 나오는 표현식) {
불 값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else {
불 값이 거짓일 때 실행할 문장
}
예시)
let x = 10;
if (x>0) {
// main logic #1
console.log("x는 양수입니다.")
} else {
// main logic #2
console.log("x는 음수입니다.")
} // x는 양수입니다. 출력
if (조건1) {
// main logic #1
} else if (조건2) {
// main logic #2
} else {
// main logic #3
}
예시)
let x = 10;
if (x < 0) {
console.log('1')
} else if (x >= 0 && x < 10) {
console.log('2')
} else {
console.log('3')
} // 3 출력
예시) 미성년자 구분
let age = 20;
let gender = "여성"
if (age >= 18) {
if (gender === "여성") {
console.log("성인 여성입니다.")
} else {
console.log("성인 남성입니다.")
}
} else {
if (gender === "여성") {
console.log("미성년자 여성입니다.")
} else {
console.log("미성년자 남성입니다.")
}
}
예시) and조건(&&)
let x = 10;
(x > 0) && consol.log("x는 양수입니다.") // x는 양수입니다. 출력
예시) or조건(||)
let y; // y 에는 undefined
let z = y || 20; // y 에 20 값을 적용
console.log(z); // 20 출력
예시)
if (0) {
console.log("hello");
} // 출력되지 않음
if ("") {
console.log("hello.");
} // 출력되지 않음
if (null) {
console.log("hello");
} // 출력되지 않음
if (undefined) {
console.log("hello");
} // 출력되지 않음
if (NaN) {
console.log("hello");
} // 출력되지 않음
if (false) {
console.log("hello");
} // 출력되지 않음
if (true) {
console.log("hello");
} // hello 출력
기본형태
switch (자료) {
case 조건A:
break
case 조건B:
break
default:
break
}
switch 조건문으로 홀수와 짝수를 구분하는 ex)
<script>
// 변수를 선언한다.
const input = Number(prompt('숫자를 입력하세요.', '숫자')
// 조건문
switch (input % 2) {
case 0:
alert('짝수입니다.')
break
case 1:
alert('홀수입니다.')
break
default:
alert('숫자가 아닙니다.')
break
}
</script>
실행 결과1
실행 결과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