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리소스들의 집합, 웹브라우저로 볼 수 있는 것
웹 브라우저: 웹으로 된걸 보는걸, 리소스(파일)를 보는 것, (text.image,audio)
인터넷: 인프라
웹: 컨텐츠
트리구조
js가 하는 일 트리를 만짐
emmet 기본적인거 익히면 좋음
.class
#id - 유일해야 함
* - 모든 요소 선택
p - 모든 p 선택
div,p - 모든 div와 p 선택
div p - div안에 있는 모든 p 선택
div > p - div가 부모인 모든 p 선택
원격프로그램 실행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하면 서버에서 응답한다
포트: 아파트 호수 같음
서버가 기다리고 있다가 요청이 오면 처리함
아이피와 포트는 고정
웹서버 포트는 80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스팅=컴퓨터
가상호스트=1대 컴퓨터에 여러대
서블릿: 작은 서버 프로그램
톰캣설치경로/conf/server.xml : Tomcat 서버 설정 파일
톰캣설치경로/conf/web.xml : Tomcat의모든web app의공통설정
웹앱이름/WEB-INF/web.xml : web app의개별설정
프로토콜: 주고받을 데이터에 대한 형식을 정의, 약속, 규칙
HTTP:리소스(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것, text기반의 프로토콜
상태코드
2xx: Seccess(성공)
3xx: Redirect(옆집으로 가세요)
4xx: Client Error(요청한 사람 잘못)
5xx: Server Error(서버 잘못)
바이너리 파일: 문자와 숫자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텍스트 파일: 문자만 저장되어 있는 파일, 숫자를 문자로 변환 후 씀
이미지(바이너리) -> 텍스트
Base64: 64진법, 바이너리를 텍스트로 변환할 때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