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irect vs forward
redirect
- 요청 2번 + 응답 2번
- 클라이언트에게 다른 URL로 이동하라고 명령
- 주소장 URL이 변경
- 요청 객체(reqeust)는 유지X -> 새요청
- 주로 POST-Redirect-GET 패턴에서 사용
forward
- 요청 1번 + 응답 1번
- 서버 내부에서 페이지를 이동
- 클라이언트는 이동 사실을 모름(주소창 변경X)
- 요청 객체(reqeust)가 그래도 전달(데이터 유지)
- 주로 요청 처리 후 결과를 JSP로 넘길 때 사용
redirect: 브라우저가 새로 요청 -> URL 바뀌고 request초기화
forward: 서버 내부 이동 -> URL 안 바뀌고 reqeust 유지
쿠키 vs 세션
쿠키
- 클라이언트 식별 기술
- 이름과 값의 쌍으로 구성된 작은 정보. 아스키 문자만 가능
- 한글은 URL인코딩/디코딩 필요
- 브라우저에 저장
- 서버에 요청 시 domain, path가 일치하는 경우(+하위 경로 포함)에만 자동 전송
세션
- 저장소, 서버에 저장 -> 부담이 크기 때문에 웬만하면 저장하지 않는게 좋다
HTTP 프로토콜 특징
- stateless(상태 유지X): 한 사람이 커넥션을 오래 유지하는 걸 막기위해(많은 사사람이 접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해)
- connectionless: 연결 유지X
이런 특징때문에 요청을 구별 X -> 쿠키와 세션으로 구별한다
이번주 회고
- 리다이렉트, 쿠키, 세션을 사용하여 로그인 페이지 과제 완료했다
- 강의와 요약본을 보고 만들었기 때문에 안보고 만들어봐야겠다
- 스프링 MVC는 10번 실습했다
- 연휴에 스프링 강의와 게시판 만들기 실습을 할 예정이다
- 자바 복습도 해야하는데... 틈틈히 하루에 1시간이라도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