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명령어 정리(1)

우기·2023년 10월 18일
0

Git

목록 보기
1/3

오늘 배운 Git bash 명령어가 하는 역할들을 정리해보자..

Git이 설치되었다면 바탕화면에 새폴더를 생성 후 폴더 에서 우클릭을 하여 Open Git Bash here 를 누르면 git bash가 실행된다.

기본적인 명령어 부터 정리해보면

현재 디렉토리 위치확인 : pwd

저장소 생성 : git init

저장소 생성 확인 : ls -al

저장소 폴더 삭제 : rm -rf .git

저장소가 삭제되었는지 확인 : ls -al

GIT 변수 확인 및 변경

확인 : git config --global 변수명
변경 : git config --global 변수명 새_값

확인 :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변경 :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확인 :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파일 생성 : touch a --> 파일명이 a 인 파일 생성
touch a.txt --> 파일명이 a인 텍스트 파일 생성
touch b.pptx --> 파일명이 b인 ppt 파일 생성
touch c.xlxs --> 파일명이 c인 엑셀 파일 생성
숨김파일 빼고 전부 리스팅 : ls -l

숨김파일 빼고 전부 삭제 : rm -rf *
숨김파일 빼고 전부 삭제 되었는지 확인 : ls -al

참고로 화면이 너무 지저분할때는 clear 명령어를 입력하면 화면이 클리어되고 exit를 입력하면 터미널이 종료된다.

또한 터미널 에서는 일반적인 ctrl+c, v가 안먹히는데 아래 방법을 통해 복사 붙여넣기가 가능하니 참고하면 좋을듯!

복사 : Ctrl + Insert
붙여넣기 : Shift + Insert

profile
갭린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