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이제 3년차가 된 주니어 앱 개발자로, 안드로이드로 개발자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했으나 현재는 플러터를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플러터 개발을 한 지는 이제 1년 반 정도 된 것 같은데요, 개발 도메인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플러터라는 프레임워크에 대해 제대로 이해
주니어의 메모장 시리즈에서는 블로그 주인이 개발 및 공부하다가 얻은 지식 중 공유하면 좋을 것 같은 것들을 짧은 글로 공유합니다.Getx를 사용한 플러터 프로젝트에서 Rx 변수를 선언할 때, 특정 타입이나 var 보다는 아래 코드처럼 final로 선언해주는 경우가 많습
주니어의 메모장 시리즈에서는 블로그 주인이 개발 및 공부하다가 얻은 지식 중 공유하면 좋을 것 같은 것들을 짧은 글로 공유합니다.오늘은 단순하지만 한번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헷갈릴 수 있는, Center 또는 Flex widget (Column, Row)의 메인 속성들
주니어의 메모장 시리즈에서는 블로그 주인이 개발 및 공부하다가 얻은 지식 중 공유하면 좋을 것 같은 것들을 짧은 글로 공유합니다.Dart 공식 문서에도 명시되어있지만 부모 클래스의 필드를 오버라이딩 하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사실 필드를 오버라이딩해서 써야하는 경우는 많
주니어의 메모장 시리즈에서는 블로그 주인이 개발 및 공부하다가 얻은 지식 중 공유하면 좋을 것 같은 것들을 짧은 글로 공유합니다.Container를 ClipRRect로 감싸서 border radius를 주는 코드를 몇번 본 적이 있습니다. Container에도 deco
[주니어의 메모장] 시리즈에서는 블로그 주인이 개발 및 공부하다가 얻은 지식 중 공유하면 좋을 것 같은 것들을 짧은 글로 공유합니다. static, const, final 은 다트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에서도 접할 수 있는 흔한 키워드이지만, Static 클래스의
주니어의 메모장 시리즈에서는 블로그 주인이 개발 및 공부하다가 얻은 지식 중 공유하면 좋을 것 같은 것들을 짧은 글로 공유합니다. 플러터 개발을 하시다보면 이런 코드를 보시게 될 것입니다. 위 코드를 예시로 들었을 때 onPressed?.call() 이나 onPress
플러터를 공부한지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으나, 깊이가 없는 상태에서 주먹구구식으로 코드를 짜다보니 화면을 구현할 때 RenderFlex Overflowed 에러를 마주한적이 굉장히 많습니다. 특히 화면이 복잡할수록 디바이스 크기별로 대응가능한 Responsible UI
주니어의 메모장 시리즈에서는 블로그 주인이 개발 및 공부하다가 얻은 지식 중 공유하면 좋을 것 같은 것들을 짧은 글로 공유합니다. Dart에서는 null 관련 연산자로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 nullable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합니다. 해당 연산자가 사용된 변
본 글은 Flutter에서 뒤로가기 동작을 커스터마이징하는데 사용하는 WillPopScope가 Deprecated된 배경에 대해 소개합니다. 더 알고 싶다면 아래 참고하기 Blog https://heechokim.tistory.com/25 Youtube https:/
고정된 사이즈의 위젯을 만들 때 사용 (고정된 사이즈의 위젯으로 Row 또는 Column 내에서 간격을 주고 싶을 때도 사용)width, height 둘 중 하나라도 설정하지 않으면 child 크기에 맞게 설정됨SizedBox처럼 고정된 크기를 가진 위젯을 만들 수 있
우리는 플러터로 앱을 개발할 때, 디바이스 별 대응 가능한 Responsible UI를 만들고자 Flexible 또는 Expanded를 사용합니다. Flexible 또는 Expanded는 Row 및 Column 같은 Flex 위젯의 자식 위젯으로 사용되며, flex라는
User라는 클래스가 있고, user1과 user2는 User 클래스의 객체들입니다. user2 에 user1이 할당되고, 이후에 user1의 값이 변경되었으니 user2의 name은 ‘A’가 될 것 같지만 결과값으로는 B가 출력됩니다. 바로 user2 객체에 얕은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