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주소:port번호/폴더명/파일명
순이다 원래대로라면 파일명에 full path가 들어가야한다. <style>
package com.exampl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 URL Mapping : 현재파일의 경로를 압축시켜주는 것 보안상 경로가 유출되기 때문에 취약/현재파일의 경로가 복잡함
@WebServlet("/table")
public class ex05MakeTable extends HttpServlet {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int num1 = Integer.parseInt(request.getParameter("num1"));
// table 태그를 브라우저에 출력하시오.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charset=euc-kr");
// servlet과 HTML의 통로가 생기는 코드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HTML 페이지 응답");
out.print("<table border=1>");
out.print("<tr>");
for (int i = 1; i <= num1; i++) {
out.print("<td>" + i + "</td>");
}
out.print("</tr>");
out.print("</table>");
}
}
</style>
header
나머지를 body
라고 한다. header
패킷이다.<h1>Get</h1>
<!-- default값은 get 방식이다. -->
<form action="ex06" method="get">
<input type="text" name="content">
<input type="submit" name="Get">
</form>
EUC-KR
은 낡은 방식이고 UTF-8
은 최신 방식이다.<h1>Post</h1>
<form action="ex06" method="post">
<input type="text" name="content">
<input type="submit" name="Post">
</form>
service
를 안 쓰면 둘 중 하나가 호출된다.
또한 갯과 포스트를 둘다 호출할 일이 없다. 왜냐하면 어차피 넘어오는 값이 servlet에서 get
이다 post
다 둘중하나만 처리한다. 따라서 service
함수 하나만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