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업(markup)은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시하는 언어
<br>
# 제목1
## 제목2
### 제목3
#### 제목4
##### 제목5
###### 제목6
---
or ***
, <hr>
을 사용한다.굵은 글씨
이탤릭 or 이탤릭
취소선
밑줄
**굵은 글씨**
*이탤릭* or _이탤릭_
~~취소선~~
<u>밑줄</u>
>
를 사용하여 인용문을 표현한다.(인용문은 중복이 가능하다.)인용문은
중복이 가능하다.
>인용문은
>>중복이 가능하다.
[하이퍼 텍스트로 보이는 이름](링크의 주소 https://velog.io/@jehyung-dev)


[](링크)
이렇게 응용하면 이미지 클릭시 링크로 이동한다.
인라인코드
블럭 코드
`인라인코드`
```사용언어
블럭 코드
```
이외에 원시 HTML과 표 등이 있었는데, 벨로그의 정리를 하면서 사용하게 되면 추가로 작성할 예정이다.
이미지나 링크를 참조링크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나는 코드나 텍스트를 주로 사용할텐데, 웹 분야를 올리게 되면 사이트 사진을 참조의 형태로 해볼 예정이다.
참조를 사용하는 이유(이점)
- 가독성
- 관리 용이성
- 재사용성
- 유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