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앱 심사 들어가있는 동안 실서버 구성을 진행했다.일단 실서버는 Web DB1,2 이렇게만 사용할거지만, 구성도는 거창하게 진행했다. ㅋ\_ㅋ왜냐면 나 나중에 다 만들어볼거니깐! (시간없겠지만)아무튼, 오늘은 Better Stack + Slack으로 간단한 htt
지난번에는 EC2를 직접 만들어서 NAT Gateway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스팅했었는데, 이번에는 NAT Gateway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스팅한다너무 간단해서 ㅠ.ㅠ 그래도 일단 저장용으로 ..참고로, nat 게이트웨이는 시간당 0.059 USD의 돈이 나간다
실서버에 넣기 위한 MariaDB의 이중화를 해야할 것 같다..!그래서 미리-미리- 이중화해두기 ㅎㅎ 왜냐면 시스템 올렸다 내렸다 편하게 할 수 있는 건 지금뿐이니까..!중간에 도저히 안풀리는 문제가 있어서 지선생님 도움을 좀 받았다..^^!AWS에서 사용하니 당연히,
회사에서 카카오 로그인 구현할 일이 있어서...카카오 로그인 구현에 대해 가볍게 한줄 남겨본다.준비되어 있어야 할 것 : 카카오 개발자 아이디와 활용신청 (biz의 경우 검수까지 며칠 걸림)카카오 입장에서는 생판 모르는 사람에게 누군가의 정보를 줄 수는 없는 노릇이라,
저의 경우 지원한 회사는 작은 회사긴 하지만 탄탄한(?) 어느정도 유니콘 기업 정도라고 말할 수 있는 회사에 지원하였습니다.일은 해봐야 알겠지만 django, celery, python을 사용하는 회사로 이직하고자 하였습니다.php 개발자로 입사했더니 python으로
갑자기 일주일만에 뜬금 앱을 개발해야 하게 됐다.리뉴얼.. 이라 쓰고 프레임워크 이전이라 읽는다.그전 코드를 거의 참조할 수 없어서 다시 만들고 있는 중이다.일단 JWT 토큰을 이용해 로그인 체크를 구현해보았다.먼저 Codeigniter의 루트 패스로 가서 를 실행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