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M1에서 Oracle Database 사용하기https://velog.io/@jduckling_1024/Mac-M1%EC%97%90%EC%84%9C-Oracle-DB-%EC%82%AC%EC%9A%A9%ED%95%98%EA%B8%B0하지만 Parallel
여기에서 Parallel Desktop을 설치한다. 여기(https://www.oracle.com/database/technologies/oracle-database-software-downloads.html 설치하면 이런 압축파일이 생기는데 압축을 풀어준다.
클래스 명이나 패키지 명이 네이밍 컨벤션에 맞지 않아 변경해야 할 경우가 있다. 해당 이슈를 수행한 후 다음 이슈를 처리하러 feature -> develop 브랜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 아래와 같은 에러를 접하게 된다.원래 master에 아래와 같은 class가 있었다
TM Lock은 DML 테이블 Lock으로 테이블을 보호하는 Lock이다.이제부터 이 트랜잭션을 트랜잭션A라고 부를 것이다.그러면 이렇게 정상적으로 업데이트 된다. 아직 commit은 하지 않은 상태다.이때, 다른 곳(새 cmd창)에서 empno가 1인 emp의 sal
cmd 실행sqlplus 입력Enter user name : sys as sysdba, Password: (아무것도 치지 않고 바로 Enter)alter user system identified by 새 비밀번호ex) alter user system identified
테스트케이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테스트케이스본인이 작성한 코드가 예상한 대로 잘 동작하는지 예상되는 값을 부여하여 어플리케이션 빌드 시 동작을 검증하는 것타겟 코드에 대한 기대 행동을 제공하는 시나리오TDD는 테스트 주도 개발의 줄임말로 우선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한 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던 중, 한 기능에서 로직은 같지만 입력 파라미터만 다른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해야 할 일이 있었다. 코드는 중복되지만, 각 케이스에 대한 검증은 필요하므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을 수는 없다. 이러한 경우 조금 더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하는 방법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예외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한 케이스 쪽에서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생겨 찾아보고 정리하게 되었다.BDDMockito의 willThrow를 사용하던 도중, 파라미터로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이처럼 willThrow의 파라미터로
git reset과 git revert 둘 다 결과적으로는 되돌릴 때 사용하는 것이지만 둘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이제부터 이 둘의 차이를 알아볼 예정이다. 현재 commit 이력은 다음과 같다.모두 a.txt를 가지고 있으며 각 commit의 a.txt 내용은 아래와
https://leetcode.com/problems/jump-game-iv/처음에는 재귀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이렇게 코드를 짰었다.다음과 같은 테스트케이스가 들어온다면?\[7, 7, 7, ... 7] <- arr.length = 3000재귀함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05처음에 특정 지점에서 모두 1로 구성된 정사각형 영역을 계속 구하자니, 반복적으로 탐색해야 한다는 점을 눈치채고 dp 문제라고 생각하였다.방법은 간단하다.현재
개인 프로젝트 설정 중 작은 문제가 발생하였다.Node.js 서버를 실행하는데 이런 문제가 발생하였다.프로젝트 구조는 대략 이렇다.실행할 js 파일은 src 폴더 내에 있어 node_module 안에 있는 express를 import하지 못했다는 오류이다. 이를 해결하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6091 접근 한참 고민하다가 정점 A에서 정점 B로 가는 비용이 작다는 것은 인접해있을 확률이 높다고 생각하고 비용 순서대로 우선순위 큐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우선순위 큐에서 하나씩 간선에 대한 정보를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6052우선, 회전에 이용할 dx, dy 배열을 만들어줘야 한다. 단, 시계 방향으로 정해줘야 나중에 구현하기 편해진다. 본인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본인은 다음과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1303?language=java인덱스만 좀 조심해서 구현하면 되는 문제같다. 처음에 단순히 ArrayList를 사용하여 풀어서 정확성 측면에서는 통과했지만, 효율성
https://level.goorm.io/exam/51356/ab%EB%A5%BC-bba%EB%A1%9C/quiz/1처음에는 스택 두 개를 두고 푸는 방법을 생각했다. 특정 위치의 문자가 'b'일 경우 그 전의 문자가 무엇이었는지 스택의 top을 통해 알아내는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36단순히 완전 탐색을 이용하였으나, 시간초과가 났다.거의 비슷하게 접근했었는데, 한 가지 간과한 점이 있었다. 반례를 찾으면서도 앞뒤가 안맞는다고 생각되는 요인
https://www.acmicpc.net/problem/12100보드의 크기 N은 1 ≤ N ≤ 20이며 최대 5번 이동이라는 제약으로 인해 dfs로 풀어도 시간초과가 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정해진 방향으로 숫자가 모두 밀렸을 때를 리스트에 대한 배열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78?language=java 풀이 먼저 셔틀버스 시간표를 만들어준다. 09시부터 t분 간격으로 n회 배치하면 된다. t분씩 더해주다가 분(minute)단위가 60이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79 접근 처음에 기지국의 영향을 받는 시작점과 끝점을 담은 Node에 대한 배열을 만들고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였다. 그리고 그 배열을 처음부터 탐색해서 기지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