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 타입

jaybon·2022년 10월 20일
0

파이썬

목록 보기
2/20

표준 타입 계층 구조

표준?

언어에서 '표준'이라는 것은 기본 제공한다는 뜻이다.

타입?

데이터의 성질이다. 1은 숫자, 가나다는 문자라고 현실에서 구분하는 것과 비슷하다.

파이썬은 타입의 종류가 적은 편이다.

정수

분수와 소수를 포함하지 않고,
0과 자연수와 음수를 포함한 개념.

-3, -2, -1, 0, 1, 2, 3

0

0은 0 그 자체이다. (사람이 만든 개념)

ex) 사과 한 개를 0조각으로 쪼갤 수 없다.

자연수

1, 2, 3 등등

음수

-1, -2, -3 등등

불리언

참, 거짓

True, False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한다.
불리언이 계층 구조에서 숫자로 들어가는 것은
False가 0이기 때문이다.

전통적 언어에서는 true는 1, false는 0인 경우가 많은데,

파이썬에서는
0이외의 모든 숫자가 True이다.

실수

유리수와 무리수를 통틀어 실수라고 한다.

유리수

정수비로 나타낼 수 있는 수 (0은 분모가 될 수 없다)

12=0.5{1 \over 2} = 0.5

21=2{2 \over 1} = 2

무리수

정수비로 나타낼 수 없는 수

파이 3.141592⋯⋯
자연상수 2.71828⋯⋯

문자열

문자들을 순서대로 나열 (불변)

apple은 a, p, p, l, e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튜플

항목들을 순서대로 나열 (불변)

(2, 3, 1, 5, 8, 1)

("banana", "banana", "apple", "melon")

(2, "banana")

리스트

항목들을 순서대로 나열 (가변)

[2, 3, 1, 5, 8, 1]

["banana", "banana", "apple", "melon"]

[2, "banana"]

바이츠

바이트들을 순서대로 나열 (불변)

print(ord("A"))
print(ord("가"))

# 65
# 44032

집합

중복 되지 않는 것들의 모음

{2, 3, 1}

{"banana", "apple", "melon"}

{2, "banana"}

딕셔너리

제목이 중복되지 않는 것들의 모음 (사전과 같음)

{"name" : "jaybon", "nickname" : "jaybon", "age" : 10}

{1 : 1, 2: "aa"}

{1 : 1, "1": "aa"}

profile
티스토리 블로그 https://ondolroom.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