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silver3] 주유소(13305)

이민선(Jasmine)·2023년 5월 22일
0

문제

어떤 나라에 N개의 도시가 있다. 이 도시들은 일직선 도로 위에 있다. 편의상 일직선을 수평 방향으로 두자. 제일 왼쪽의 도시에서 제일 오른쪽의 도시로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하려고 한다. 인접한 두 도시 사이의 도로들은 서로 길이가 다를 수 있다. 도로 길이의 단위는 km를 사용한다.

처음 출발할 때 자동차에는 기름이 없어서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고 출발하여야 한다. 기름통의 크기는 무제한이어서 얼마든지 많은 기름을 넣을 수 있다. 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할 때 1km마다 1리터의 기름을 사용한다. 각 도시에는 단 하나의 주유소가 있으며, 도시 마다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은 다를 수 있다. 가격의 단위는 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 나라에 다음 그림처럼 4개의 도시가 있다고 하자. 원 안에 있는 숫자는 그 도시에 있는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이다. 도로 위에 있는 숫자는 도로의 길이를 표시한 것이다.

제일 왼쪽 도시에서 6리터의 기름을 넣고, 더 이상의 주유 없이 제일 오른쪽 도시까지 이동하면 총 비용은 30원이다. 만약 제일 왼쪽 도시에서 2리터의 기름을 넣고(2×5 = 10원) 다음 번 도시까지 이동한 후 3리터의 기름을 넣고(3×2 = 6원) 다음 도시에서 1리터의 기름을 넣어(1×4 = 4원) 제일 오른쪽 도시로 이동하면, 총 비용은 20원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일 왼쪽 도시에서 2리터의 기름을 넣고(2×5 = 10원) 다음 번 도시까지 이동한 후 4리터의 기름을 넣고(4×2 = 8원) 제일 오른쪽 도시까지 이동하면, 총 비용은 18원이다.

각 도시에 있는 주유소의 기름 가격과, 각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의 길이를 입력으로 받아 제일 왼쪽 도시에서 제일 오른쪽 도시로 이동하는 최소의 비용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표준 입력으로 다음 정보가 주어진다. 첫 번째 줄에는 도시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2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인접한 두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의 길이가 제일 왼쪽 도로부터 N-1개의 자연수로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이 제일 왼쪽 도시부터 순서대로 N개의 자연수로 주어진다. 제일 왼쪽 도시부터 제일 오른쪽 도시까지의 거리는 1이상 1,000,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리터당 가격은 1 이상 1,000,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표준 출력으로 제일 왼쪽 도시에서 제일 오른쪽 도시로 가는 최소 비용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4
2 3 1
5 2 4 1

예제 출력 1

18

예제 입력 2

4
3 3 4
1 1 1 1

예제 출력 2

10

나의 코드

from sys import stdin as 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s = open("input.txt", "rt")  # 주석 처리해야 하는 부분

n = int(s.readline().strip())

distance = list(map(int, s.readline().split()))
cities = list(map(int, s.readline().split()))
# 문제에서 주어진 price 최댓값을 우선 할당해놓는다.
price = 1e9
result = 0

# 마지막 도시는 고려하지 않는 범위 지정
for i in range(n - 1):
 # 현재 도시의 가격이 price보다 저렴할 경우 price 갱신
    if price > cities[i]:
        price = cities[i]
    # 이번 도시에서의 비용 result에 합산
    result += price * distance[i]

print(result)

욕심쟁이 알고리즘 그리디 답게, 가장 저렴한 가격만 냠냠 먹겠다고 접근하면 된다.

처음에 문제에서 주어진 price의 최댓값인 1e9를 먼저 할당을 해놓고, city들을 순회하며 price가 더 낮은 도시가 나타날 때 재할당을 해주는 구조이다.
만약 이번 도시에서 price가 아직 더 높다면 재할당을 하지 않고 price를 그대로 계산한다.

문제 자체를 해결해내는 데에 시간이 아주 많이 소요된 건 아니었지만, 발목을 잡았던 고정적인 생각?이 있었다. 뒤쪽에 지금보다 비싼 도시가 있으면 지금 뒤에 도시 비용까지 전부 합산해야 한다는 생각이 계속 들었었다.

그래서 처음에 브레인스토밍했던 💩 아이디어

💩💩💩💩💩💩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무슨 매 회차마다 deep copy하고 deque 라이브러리 사용하고 난리도 아니구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뒤의 도시를 왜 지금 계산하냐구 ~~~

문제의 교훈 요약

  • 한 번에 반드시 뒤의 도시의 비용까지 계산할 필요가 없다!

그리디 실력이 아주 조금씩 늘고 있는 것 같기도..??!!
얼른 점심 배달 왔으면 좋겠다 ㅎㅎㅎ 배고파~~~ 화이팅!!!

profile
기록에 진심인 개발자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