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초 이론 - 널널한 개발자 정주행] 11. DNS

이민선(Jasmine)·2023년 8월 29일
0

[CS] 네트워크 + 웹

목록 보기
17/17

보옥스읍!

www.naver.com을 주소창에 입력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DNS 서버한테 IP주소를 직접 요청하는 게 아니었다니..
먼저, 캐시를 모두 샅샅이 뒤져서 찾는다.

  • 브라우저의 DNS 캐시
  • OS의 DNS 캐시
  • hosts file
  • (공유기에 DNS forwarding 기능이 있을 경우) 공유기
  • ISP의 cache DNS server

ISP의 cache DNS server에 마저도 캐싱되어 있는 IP주소가 없다면, 그때 ISP의 cache DNS server가 DNS에 요청하는 것이다.

Root DNS로부터 .com을 관리하는 DNS(TLD server) 목록을 요청하여 알아내고, 그 중 하나에 해당하는 TLD server에 naver.com을 관리하는 DNS를 알아낸 후, 해당 Authoritative DNS(실제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DNS 서버)로부터 www.naver.com에 매핑되는 IP주소를 응답으로 받아 최초 요청한 호스트에게로 전달하는 구조이다.

만약 이 번거로운 작업을 사용자가 url을 입력할 때마다 한다면? 이렇게 생각하니 캐싱이 얼마나 위대한 작업인지 알 것 같다.

profile
기록에 진심인 개발자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