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리뷰] 프론트엔드 레벨1 자동차경주 미션 코드리뷰 정리

Marco·2022년 2월 25일
13

우아한테크코스

목록 보기
1/11

우아한테크코스 레벨1 자동차경주 미션을 수행하며 코드리뷰를 받았다. 내 코드에 대한 리뷰 및 다른 크루들이 받은 리뷰들을 살펴보다가, 나중에 리마인드하면 좋을 내용들이 많아 보여서 메모한 내용을 포스팅한다.

컨벤션

  • isCarNameBlank와 같이 is 라는 prefix가 붙은 네이밍은 car name이 비어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true나 false를 반환한다고 예상된다.
  • 선택자 중 id명과 class명을 서로 다르게 주는 것이 헷갈리지 않는다. 보통 id와 class의 네이밍 컨벤션을 다르게 가져간다.

함수는 한 가지 일만

  • 공통 메서드는 의도가 드러난 한 가지 일만 수행하도록 하는 게 유리하다. 한 함수에서 여러 일을 동시에 하지 않도록 분리한다.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중복 제거

  • Set 자료구조를 통해 중복을 제거하고, 원본의 길이와 비교하면 해당 배열에 중복값이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const validateDuplicateCarName = names => {
  return new Set(names).size === names.length;

DOM 요소 삽입 방법

  • innerHTML을 사용하면 기존에 매핑된 이벤트가 전부 소멸된다. 매핑된 이벤트를 소멸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DOM에 추가하기 위해 insertAdjacentHTML 메서드를 사용해볼 수 있다.
  • insertAdjacentHTML 추천
  • innerHTML보다 createElement 및 append 등을 사용하는 것이 성능상 이점이 있지만, 작성하기에 상당히 피곤하며 가독성도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대신 innerHTML과 사용법이 비슷하면서도 가독성도 확보되고 월등한 성능을 지니는 insertAdjacentHTML을 추천한다.
    https://kit-developer.tistory.com/27

단축평가

  • or로 이어진 조건들을 some 메서드로 리팩토링
// before
static isInvalidInput(input) {
	if(this.isA(input)) {
		return true;
	}
	if(this.isB(input)) {
		return true;
	}
	if(this.isC(input)) {
		return true;
	}
	return false
}
// refactor 1 - 단순화
return this.isA(input) || this.isB(input) || this.isC(input);
// refactor 2 - or로 이어진 조건들을 some메서드로 리팩토링
return ['isA', 'isB', 'isC'].some((method) => this[method](input));
  • and로 이어진 조건들을 every 메서드로 리팩토링
// before
static isInvalidInput(input) {
	if(this.isA(input) && this.isB(input) && this.isC(input)) {
		return true;
	}
	return false
}
// refactor 1 - 단순화
return this.isA(input) && this.isB(input) && this.isC(input);
// refactor 2 - and로 이어진 조건들을 some메서드로 리팩토링
return ['isA', 'isB', 'isC'].every((method) => this[method](input));

테스트코드

  • 본질적인 방어는 본진에서 해두고, 테스트는 ‘예방차원'에서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 테스트코드에서도 자주 쓰이는 string은 상수로 관리하면 휴먼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 전역에서 사용하는 custom commands 의 경우 문서에서 support 폴더에 정의하길 권장한다. support/commands.js 파일에 정의하면 좋다.
  • {enter} 하면 enter키가 눌리는 테스트코드(cypress)
cy.get('.input-section').type('east,west,south,north{enter}');
// .input-section 클래스 엘리먼트에 'east,west,south,north'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설계

  • model과 controller를 분리했음에도 controller가 model에 직접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model에 값을 던져주고, model이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끔 하는 편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역할 개입에 의해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런 사례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 미리부터 model을 캡슐화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 model의 상태를 다른 곳에서 변경하기 보다는 해당 model에게 메세지를 보내서(model의 메서드 호출) model이 직접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변경하는 방식(model의 메서드 내부에 상태 변경 코드)을 추천한다. 상태를 외부에서 직접 변경하는 방식보다는 객체가 스스로 상태를 책임지는 방식이 캡슐화가 더 잘됐다고 할 수 있고, 코드의 의도를 파악하기도 더 좋다.
  • 헐리우드 원칙 https://johngrib.github.io/wiki/hollywood-principle/
    • DOM 요소가 모두 View에 있도록 하기 위해 DOM에서 이벤트 부착을 하였고, 이벤트 발동 시 실행할 콜백함수를 인자로 받는다. 해당 인자는 Controller에서 전달한 것이므로, 이벤트의 콜백함수는 Controller에서 실행된다. 이처럼 함수를 인자로 넘기는 것은 자바스크립트는 함수가 일급객체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이는 할리우드 원칙 패턴과 유사하다.
      헐리우드 원칙을 활용하면 "의존성 부패(dependency rot)"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고수준 구성요소가 저수준 구성요소에 의존하고, 그 저수준 구성요소는 다시 고수준 구성요소에 의존하고, 그 고수준 구성요소는 다시 또 다른 구성요소에 의존하고, 그 다른 구성요소는 또 저수준 구성요소에 의존하는 것과 같은 식으로 의존성이 복잡하게 꼬여있는 것을 의존성 부패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의존성이 부패되면 시스템이 어떤 식으로 디자인된 것인지 거의 아무도 알아볼 수 없게 되죠.
      헐리우드 원칙을 사용하면, 저수준 구성요소에서 시스템에 접속을 할 수는 있지만, 언제 어떤 식으로 그 구성요소들을 사용할지는 고수준 구성요소에서 결정하게 됩니다. 즉, 고수준 구성요소에서 저수준 구성요소에게 "먼저 연락하지 마세요. 제가 먼저 연락 드리겠습니다"라고 얘기를 하는 것과 같죠.
  • controller가 다른 객체인 view의 멤버변수(element)에 직접 접근해서 eventListener를 달으는 것이 올바를까?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의 데이터는 객체의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객체의 데이터를 외부에서 마음대로 읽고 변경할 경우 객체의 무결성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 객체의 프로퍼티를 객체 바깥에서 직접 조작하는 행위는 데이터의 유지 보수성을 해치는 주요 원인이다.
    • 따라서 view의 멤버변수에 접근하여 eventListener를 다는 메서드는 view 내부에서 해주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인다. 또한, 다른 객체의 멤버변수에 접근해야할 경우, getter나 setter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MVC에 얽매일 것이 아니라, 도메인 단위로 분리할 수도 있다. 이 프로그램은 크게 봤을 때 입력, 경주, 우승자 표시 이렇게 3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같다. 그런 관점에서 봤을 때 RacingCarGame이 다루고 있는 도메인은 입력 form과 경주화면 2가지를 모두 담고 있는데 이 2개는 분리가 가능할 것 같다. 그리고 View는 화면단의 모든 영역을 핸들링 하고 있는데 이 부분도 도메인 단위로 분리가 가능한 영역으로 보인다.
  • model은 순수하게 '데이터' 및 '데이터를 변경하는 메서드'만 들고 있으면 되고, controller는 그와 정 반대로 '데이터'를 아예 들고 있지 않아야 맞다. controller가 들고 있어야 하는 정보란, 프로젝트 전반을 진두지휘하기 위한 접근자(각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들로 충분하다.
  • html 태그에 event를 등록하는 메서드는, '컨트롤러'가 제어하는 메서드가 아니라, View에서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컨트롤러에게 이를 '전달'해주는 목적을 띕니다. 즉, '컨트롤러'가 아닌 'VIew'에 더 어울리는 메서드이다.
  • view를 하나로만 작성하지 말고, 값 입력 폼 view, 레이싱 경기진행 view, 결과를 보여주는 view 등 대략 더 나눠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컨트롤러도 view에게 지시할 때 특정 view를 가리켜 지시할 수 있다.
  • 컨트롤러가 view의 일까지 너무 많이 가지고 있지 않은지 고민하자. 예를 들어, 아래 코드처럼 어디에, 어떤 위치에, 어떤 템플릿으로 그릴지를 컨트롤러에서 다 정하지 말고, 이러한 구체적인 렌더링은 view가 알아서 하게 하자. 컨트롤러는 단지 view에게 실행해!라고만 알려주는 편이 역할 분리가 된 것이다.
this.view.render(selector, position, template);

바로 return하는 함수 관련

  • 바로 return을 하는 함수라면 () 안에 return을 내포하고 있어 다음과 같이 리팩토링이 가능하다.
// before
const func = (input) => {
  return input.split(',').map((input) => input.trim());
};
// refactor
const func = (input) => input.split(',').map((input) => input.trim());

DOM

  • selector 탐색을 root에서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탐색하면서 매칭되는 첫 번째 element를 반환한다. 이런 방식으로는 프로젝트 덩치가 커질수록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슈가 예상된다.
    1. 모든 element를 root에서부터 탐색하기 때무에 element 깊이가 깊어질수록 탐색 속도 저하
    2. 유일한 className이 아니면 의도하지 않은 element 반환
      이러한 이슈를 방지하기 위해, document root부터 탐색이 아니라 특정 element 부터 탐색하는 방법을 고민해보자.
    element = baseElement.querySelector(selector);

forEach를 map으로 리팩토링

  • DOM에 렌더링을 하기 위한 HTML String을 준비할 때, 데이터 배열을 돌면서 HTML string을 만드는 경우 forEach를 쓰기도 하는데, forEach 대신 map 메서드를 쓸 수 있다.
// before : forEach메서드 사용
renderSomething(things) {
    let template = '';

    things.forEach((thing) => {
      template += somethingTemplate(thing.data);
    });

    this.$targetElement.insertAdjacentHTML('beforeend', template);
}
// after: map으로 리팩토링
renderSomething(things) {
    const template = things
      .map((thing) => somethingTemplate(thing.data))
      .join('');
    this.$targetElement.insertAdjacentHTML('beforeend', template);
}

class

  • 객체를 생성할 때, class와 생성자 함수 중 어떤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까? class는 결국 syntatic sugar이긴 하다. 팀 내에서는 섞어서 쓰고 있다. 요즘에는 class가 private 이나 상속 등 사용 측면에서 유리한(편한) 면이 더 있다고 생각해서, 팀내에서 class를 더 선호하기도 하다.

파일 분리

  • 파일을 분리하되 응집력있게 모아두면 괜찮다. 함수가 쪼개지고 파일까지 쪼개지다 보면 오히려 역할이나 배경, 의도를 파악하기가 어려울 때가 종종 있다. (파일도, 함수도, 모두 마찬가지이다.)

유효성 검사

  •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검증방법은 데이터 관련 Model 에서 제공하고, 검증은 Controller 에서 하는 방법도 있을 것 같다.

고민

  • 개발이란 게 정답이 없다. 교육기간에 너무 베스트 프랙티스나 정답을 따라서 하기보다는, 이것저것 삽질하면서 베스트 프랙티스로 향하거나 본인만의 답을 찾는 게 가장 중요하다. 고민하는 근력이야말로 현업에서 가장 중요하다.

sort 메서드와 immutable

  • 복사본 없이 sort 메서드로 모델의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immutable하게 모델을 유지하는 것을 추천한다. 프로그램의 복잡도가 올라갈수록 직접적으로 객체를 변경하는 것은 의도치 않은 사이드이펙트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 before
function sortCars(cars) {
  return cars.sort((a, b) => b.position - a.position);
}
// after - 복사본 만들어서 sort
function sortCars(cars) {
  const carsCopy = [...cars];
  return carsCopy.sort((a, b) => b.position - a.position);
}

올바른 변수 이름 짓는 법

https://youtu.be/ZtkIwGZZAq8

  • 간결하면서도 의미가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 변수 이름에는 동사를 넣지 않는다.
  • 단수형, 복수형을 구분한다. 변수의 단수형에는 관사(a, the)를 넣지 않는다. 복수형은 ‘s’를 뒤에 붙인다(또는 list로 하는 경우도 있다).
  • 전치사는 최대한 생략한다. nubmerOfUsers 같은 변수명보다는 더 간결히 userCount가 더 낫다. 또는 number를 앞에 쓰고 싶다 한다면, 약간 문법 파괴를 하더라도 numUsers 같이 짧게 쓰는 경우도 있다. 아무튼 numberOfUsers 처럼 전치사를 넣는 네이밍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좋은 오픈소스의 코드들을 보면서 변수명이 어떻게 지어졌는지 보고 익혀보자.

명령형과 선언형

  • 명령형(imperative, HOW) : “어떻게 구현하는가"를 설명한다.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어떤 동작을 할 것인지, 수행할 명령을 순서대로 써놓은 것.
  • 선언형(declarative, WHAT) : “무엇"이 일어나는지, 무엇과 같은지를 설명한다.

상수화

  • 어디까지 상수화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여러 사람들의 생각을 묻고 고민해보자. 상수화하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
  • 상수화 시, ID의 #, class의 . 를 이런 함수를 만들어서 편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전역 프로토타입 객체를 건드리는 것은 권장하는 방법까진 아니나, 이 정도 미션에서는 가능할 수도 있 다.).
const DOM = {
	CAR_NAME_INPUT = 'car_name_input',
}

String.prototype.toID = function() {
	return `#${this}`
}

console.log(DOM.CAR_NAME_INPUT.todID()); // #car_name_input

prettier 환경 설정

  • trailingComma의 값에 ‘all’ 설정을 하게 되면, 코드리뷰 시 실제로 코드가 변경된 부분만 표시가 될 수 있으므로, 코드리뷰할 때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은닉화

  • class의 속성이나 메서드에 해쉬 # prefix를 추가하여 private class fields를 선언할 수 있다. 다른 클래스에게 노출하지 않아야 하는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 #으로 private 메서드를 만들었는데, 순서상 constructor 아래에 넣은 이유는?
    • 관련된 메소드를 모아서 클래스를 읽는 사람이 위에서 아래로 일어나는 일을 로직의 흐름대로 알 수 있게 해야 한다.private은 내부에서만 일어나는 일이니 외형적인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public만 보고도 어떤 행동을 하는 객체인지 협업하는 사람이 잘 알 수 있어야 캡슐화가 잘 된 것이다. public을 private보다 위에 선언함으로써, 외부에서 해당 코드를 볼 때 위에서부터 빠르게 찾도록 할 수 있다.

jsDoc

class

  • static 메서드만 존재하는 class가 class로서 의미가 있을까? 객체로 만들어도 충분할 수 있다. class는 어디까지나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한 틀 또는 추상적 객체"라는 원래의 목적에 맞게 쓰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static 멤버로만 구성된 클래스는 실제로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할 일이 없으니, ‘공통 속성을 뽑아낸 추상적 범주'라기보다는 그 자체로 특정 역할을 부여한 “구체적 객체"와 다름없다고 볼 수 있다.

유틸 함수

  • 범용성이 있는 함수는 유틸 폴더로 옮기는 것이 낫다. 유틸에는 보통 도메인에 대한 정보가 없다.

드모르간 법칙으로 if문 없애기

  • 조건 충족시 false, 불충족시 true를 반환하는 함수라면 이런 식으로 if문을 없앨 수 있다.
// (1)
if (!conditionA || conditionB) return false;
return true;

// (2)
if (conditionA && !conditionB) return true;
return false;

// (3)
return conditionA && !conditionB;

입력된 값들에 빈 값이 있는지 체크

hasSpaceInName = (names) => {
  names.some((name) => Array.from(anme).some((ch) => ch.match(/ /)));
};

시맨틱 태그

  • 웹접근성을 위해 div 대신에 section이나 article을 사용하여 시맨틱하게 구현도 고려하기
    • section 안에 타이틀 태그를 넣어서 스크린리더기가 해당 섹션의 설명을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타이틀 태그를 화면에 표시하고 싶지 않다면 hidden 어트리뷰트를 사용한다.

null, “”(empty), undefined

  • null, “”(empty), undefined는 구분된다.
  • null
    • object타입
    • 변수의 선언과 데이터가 없는 상태로서 메모리의 변수의 위치가 정해지고 공간은 텅 빈 상태
    • null은 원시값(Primitive Type) 중 하나로, 어떤 값이 의도적으로 비어있음을 표현한다. undefined는 값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지만, null의 경우에는 해당 변수가 어떤 객체도 가리키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
  • "" (empty)
    • string 타입
    • 메모리의 변수의 위치가 정해지고 공간에 빈 문자열 하나만 있는 상태
  • undefined
    • undefined 타입
    • 선언한 후에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나 값이 주어지지 않은 인수에 자동으로 할당됨

max 값 구하는 경우 for문 대체하는 리팩토링

const arr = [
  { name: 'east', location: 2 },
  { name: 'west', location: 5 },
  { name: 'north', location: 3 },
];

function before() {
  let maxLocation = 0;
  for (let i = 0; i < arr.length; i++) {
    if (arr[i].location >= maxLocation) {
      maxLocation = arr[i].location;
    }
  }
  return maxLocation;
}

function after() {
  return Math.max(...arr.map(({ location }) => location));
}

console.log(before()); // 5
console.log(after()); // 5

이벤트리스너 달 때 자동화된 타겟 처리

class autoEventTargeting {
  bindEventListener(type, selector, callback) {
    const children = [...$$(selector)];
    const isTarget = (target) =>
      children.includes(target) || target.closest(selector);

    this.$app.addEventListener(type, (e) => {
      if (!isTarget(e.target)) return;

      e.preventDefault();
      callback(e);
    });
  }

  bindEventListeners() {
    this.bindEventListener(
      'click',
      '#car-name-button',
      this.submitCarNames.bind(this),
    );
    this.bindEventListener(
      'click',
      '#racing-count-button',
      this.submitRacingCount.bind(this),
    );
  }
}

label, button

  • label에는 for 어트리뷰트가 있다. 그걸 사용해서 input과 매칭해주면 좋다.
  • button은 type="submit"으로 하거나, 전체를 form으로 감싸서 input에서 enter키를 입력해도 확인 버튼을 누른 것과 동일하게끔 구성하는 것이 좋다.

rAF

  • rAF를 왜 사용할까?

    • 게임을 할때 FPS(Frame Per Second)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1초동안 몇번의 화면을 보여주는지를 알려주는 단어인데 이 FPS가 낮아지게 되면 사용자 입장에서 부드러워야 할 화면이 뚝 끊기게 되어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하게 느껴진다.

      • 이런 부분을 해소하기위해 rAF가 나왔다. rAF는 사용자가 이러한 끊김을 느끼지 않도록 1프레임마다 호출을 보장해주는 web api이다. 디스플레이의 환경에 맞게 최적의 빈도로 실행을 해줘서 사용자 경험을 챙겨줄 수 있다
    • setTimeoutsetInterval로 구현해도 되는거 아니냐! 라고 할수도 있겠지만 rAF는 앞의 set~ api와는 동작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싱글스레드로 동작하는데 setTimeoutsetInterval api는 지정해준 시간이 지나면 해당 콜백함수들을 task queue에 넣어주는데, 이전에 큐에 쌓여있던 함수에서 지연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정해준 타이머에 명확히 실행해준다는 보증이 없다. 그에 비해 rAF는 Animation frames라는 브라우저 렌더링과 관련된 task를 별도로 처리하는 queue를 통해 실행시점을 보증할 수 있다.

    • rAF와 묶여 있는 내용들은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reflowrepaint), 자바스크립트의 동작방식(이벤트 루프), 큐의 우선순위(Micro Task QueueAnimation FramesTask Queue) 등으로 참고하면 좋다.

profile
블로그 이사 🚚 https://wonsss.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