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자."라고 마음을 굳게 다잡고 와서 코드 리뷰 시간마다 질문봇처럼 물어보고 있다...
Whitelabel Error Page를 마주하지만 너무 재밌다. 스프링 부트 최고야...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사람, 예상하지 못한 문제 발생 시 해결 방안이 아니더라도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언급되었다. 나는 그런 사람인가?


- 엔티티 매니저가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엔티티들을 저장하고 있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있다고 알고있습니다.
- SQL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JPQL은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쿼리를 질의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 검색을 해보니 EntityManager는 여러 쓰레드가 접근할 시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ersistenceContext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의존성을 주입받으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초기화될 때 원본 엔티티를 상속받고있는 프록시 객체가 초기화되고, 이후 엔티티 매니저 호출 시 프록시를 통해 엔티티 매니저를 생성하기 때문에 Thread-safety가 보장된다고 합니다.


제인 정리하는거 보면 항상 감탄스럽네요!
인간 로봇 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