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 파일 시스템 사용
- 파일을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업무 처리
1980년대
- 파일 시스템 사용
- 파일을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업무 처리
1990년대
- 정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사용
- DBMS를 이용하여 업무 처리
- 정보 공유, 실시간 서비스, LAN 기술
2000년대
- 정보 시스템,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인터넷 사용
- 인터넷 쇼핑몰을 개설하여 온라인 상거래 실시
- 실시간 서비스, 웹 브라우저 기술
2010년대
- 정보 시스템,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인터넷 사용
- 고객 서비스 및 내부 업무를 인터넷으로 처리
스키마란?
DB내의 어떤 구조로 데이터가 저장되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설계도 느낌) 데이터 사전에 저장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
외부/개념 매핑
- 사용자의 외부 스키마와 개념 스키마 간의 매핑(사상)
- 외부 스키마의 데이터가 개념 스키마의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대응시킴
내부/개념 매핑
- 개념 스키마의 데이터가 내부 스키마의 물리적 장치 어디에 어떤 방법으로 저장되는지 대응시킴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logical data independence)
- 외부 단계(외부 스키마)와 개념 단계(개념 스키마) 사이의 독립성
-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지원
- 논리적 구조가 변경되어도 응용 프로그램에는 영향이 없도록 하는 개념
- 개념 스키마의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변경하여도 외부 스키마가 직접 다루는 테이블이 아니면 영향이 없음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physical data independence)
- 개념 단계(개념 스키마)와 내부 단계(내부 스키마) 사이의 독립성
- 저장장치 구조 변경과 같이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개념 스키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지원
- 성능 개선을 위하여 물리적 저장 장치를 재구성할 경우 개념 스키마나 응용 프로그램 같은 외부 스키마에 영향이 없음
- 물리적 독립성은 논리적 독립성보다 구현하기 쉬움
3줄 요약해주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