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au] - 태블로 부분 전체 분석

Jeonghwan Kim·2022년 12월 18일
0

Tableau

목록 보기
2/5

부스트코스 강의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태블로
중 'EP 5 태블로 부분 전체 분석'을 정리한 내용이다.

  • 부분 전체 분석은 전체에서 각각이 어느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지 살펴보는데 적합하다.

1) 누적 막대 차트

  • 측정값을 더블클릭하고 살펴보고자 하는 차원의 값을 색상마크에 넣어주고 정렬 해준다. 이렇게 하면 하나씩 쌓아 만든 차트처럼 보여 누적 막대 차트라고 한다.

  • 연도별로 고겍 세그먼트 별 매출값이 누적된 차트를 만드려면 고객세그먼트와 매출값을 레이블에 넣어주고, 날짜 타입의 차원을 열에 드래그해서 옮겨준 뒤 라인 차트를 막대 차트로 변경하면 된다.

  • 각 연도별로 고객 세그먼트 별 비중을 보려면 마크의 매출에서 '퀵 테이블 계산' - '구성비율'을 선택하면 전체 4년치 데이터에서 고객 세그먼트의 비율이 나온다. 각 연도별로 보려면 마크의 매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계산' - '테이블 아래로 '를 선택하면 된다.

  • 상대적으로 보기 위해선 이렇게 퀵 테이블 계산의 구성비율을 사용하면 된다.

2) 파이 차트

  • 문자열 형태의 차원과 숫자 형태의 측정값을 선택하면 우측 상단에 표현방식에 파이차트에 불이 들어오는데, 이를 누르면 된다. (표현방식 단축기: command+1)

  • 내림차순 정렬을 하면 시계 방향으로 매출이 큰 값부터 정렬된다.

  • 마크에 세모 표시가 있으면 테이블 계산이 되었다는 뜻이다.

  • 마크의 레이블을 선택해 레이블의 순서와 표시 형식을 편집할 수 있다.

  • 날짜타입을 열에 올리면 연도별로 측정값이 파이차트 형태로 나타난다.

3) 도넛 차트

  • 파이 차트에서 갖지 못하는 요약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 열이나 행 선반을 클릭하고 SUM(매출) 등을 직접 입력해 차트를 만들 수도 있다.

  • 파이 두 개를 합쳐 도넛 차트를 만들 수 있다.

  • 정렬을 할 때는 툴 바의 정렬이 아니라 마크 - 합계 - 고객 세그먼트의 정렬을 이용한다.

  • 크기 마크를 크게 늘리고 오른쪽의 파이를 왼쪽의 파이에 올리면 도넛 차트가 된다. 열 선반의 오른쪽 값의 세모 옵션을 선택하고, 이중 축을 선택하면 하나의 뷰에서 축을 이중으로 사용하는 도넛 차트가 만들어진다.

  • 머리글 표시를 해제해 머리글을 지워주고 뷰에서 마우스 오른쪽 - 서식 - 라인 - 열 - 격차선, 영 기준선을 없음으로 변경해준다.

  • 합계형 두번째를 선택하고 색상에서 흰색을 지정, 크기를 키우고 값을 레이블에 넣어준다. 레이블에 대한 설명도 레이블 편집을 통해 넣어준다.

  • 주문 일자를 넣어주면 연도별로 확인할 수 있다.

  • 가운데에 종합적인 정보를 넣을 수 있다는 점에서 파이 차트보다 좋다.

트리맵

  • 표현방식을 선택하고 차원과 측정값을 선택한뒤 트리맵을 선택해 만든다.
  • 측정값을 마크 - 레이블에 넣어주고 세모 옵션 - 퀵 테이블 계산 - 구성 비율로 사각형 형태의 크기에 따라 구성 비율을 살펴볼 수 있다.
  • 분류가 많아 인접한 값들 간 큰 차이가 없는 경우 파이차트와 도넛차트보다는 트리맵 형태로 살펴보는 것이 좋다.

부분 전체 분석

  • 전체에서 각각의 멤버들의 값이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지 살펴보는데 적합하다.

  • 멤버가 많은 경우 파이 차트나 도넛 차트보단 트리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완성된 워크시트 결과물 페이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