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네트워크

wooni·2023년 5월 2일
0

Linux

목록 보기
4/6

용어의 정리

  • IP (Internet Protocol)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IP 주소를 사용하여 장치 간에 통신합니다.
  • MAC (Media Access Control) : 네트워크 카드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입니다.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
  • LAN (Local Area Network) : 지리적으로 가까운 장치들을 연결하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입니다. 보통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됩니다.
  • WAN (Wide Area Network) :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치들을 연결하는 대규모 네트워크입니다. 인터넷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 DNS (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 도메인 이름을 해당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합니다.
  •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에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인터넷 상에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의 보안 버전으로, SSL/TL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 SSH (Secure Shell) : 원격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합니다.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UDP (User Datagram Protocol) : TCP와는 달리 안정성보다는 전송 속도를 우선시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ping :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로, 다른 장치에게 ICMP 패킷을 전송하고 응답을 받아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 traceroute : 패킷이 목적지까지 전송되는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입니다.
  • netstat :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현재 연결된 포트나 사용 중인 프로세스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명령어

  1. ifconfig : 현재 활성화된 상태 보기
  2. route : 현재 설정된 routing table을 본다.
    • route del default gw 192.168.1.254 : gateway 정보 삭제
    • route add default gw 192.168.1.254 : gateway 정보 추가
  3. ping [domian|hostname|ip]
    • ping -c 3 1.1.1.1 : ping 확인 갯수 3개
    • ping -i 4 : 보내는 간격을 4초
    • ping -s 3000 : packet의 크기를 재지정. default = 64 byte (data-56, header-8)
      최대값은 65507 byte

ip 주소의 구성

  • ip주소란?
    •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호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입니다.
    • IP 주소는 32비트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4개의 8비트(1바이트) 블록으로 구성된 10진수 형태의 네트워크 주소 체계인 IPv4가 사용됩니다.
    • IPv4의 경우 4자리의 숫자로 나타내며 각 숫자는 0~255까지 범위를 갖는다 (2진수로 표현)
    • IPv6의 경우 128비트로 구성되 16비트씩 8개의 블록으로 표현 (16진수)
  • IPv4
    • 192.168.1.1 형식으로 표현 네트워크 주소, 호스트 주소로 나뉨
    • 네트워크 주소는192.168.1 까지 이고 .1은 호스트 주소
    • 네트워크, 호스트 주소는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뉨
    • 서브넷 마스크에서 1로 표시된 부분이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0으로 표시된 부분이 호스트 ID를 나타냄

서브넷 마스크란?

  • IP 주소를 서브넷(subnet)으로 분할하기 위한 기술
  • IP 주소의 어떤 부분이 네트워크 ID, 어떤 부분이 호스트 ID인지를 표시
  • 예를 들어, IP 주소가 192.168.1.1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이라면, 이는 192.168.1.0/24 서브넷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24는 24비트가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8비트가 호스트 ID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

ip_class

  • ip 주소의 범위를 나타내는 방법중 하나

  • IPv4에서는 5개의 클래스(A, B, C, D, E)가 있으며, 각 클래스는 첫 번째 바이트의 범위로 구분됩니다. 클래스별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클래스 A : 0.0.0.0 ~ 127.255.255.255
    • 클래스 B : 128.0.0.0 ~ 191.255.255.255
    • 클래스 C : 192.0.0.0 ~ 223.255.255.255
    • 클래스 D : 224.0.0.0 ~ 239.255.255.255 (멀티캐스트용)
    • 클래스 E : 240.0.0.0 ~ 255.255.255.255 (실험용)

클래스 A, B, C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의 비율이 고정되어 있으며, 클래스 D와 E는 예약된 용도를 위해 사용

  • 클래스 A는 대규모 네트워크에 사용되며, 호스트 주소가 매우 많습니다.
  • 클래스 B는 중간 규모의 네트워크에 사용되며, 호스트 주소가 중간 정도입니다.
  • 클래스 C는 소규모 네트워크에 사용되며, 호스트 주소가 적습니다.
profile
Backen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