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처음에 이 프로젝트를 기획했을 때는 오로지 칵테일 추천 챗봇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었다. 하지만 점점 이야기를 나누면서 앱의 최종적인 기능들이 정해졌다!홈 화면칵테일 추천 챗봇홈 화면 추천자유대화 챗봇상세화면즐겨찾기검색창\*\*이중에 오늘은 검색창 기능에 집중해보려고
진행 단계 최종적으로 칵테일을 추천해주는 단계는 어느 정도 (최소한) 틀은 완성되었다.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따라 최종적으로 칵테일 3개가 추천이 된다. 그래서 프론트를 담당하고 있는 내가 해야 할 일은 그 3개를 예쁘게 앱에 보여주는 것이다. 고민들... 이미지를
매번 Git의 레포에 올리려고 할때마다 까먹어서.. 올려둔다..이미 프로젝트 폴더와 GitHub의 remote repository를 연결해뒀다고 가정한다.참고로 나는 프로젝트를 올리기만 하면 됐기 때문에 따로 브랜치를 판다거나 하지 않고 바로 메인에 푸시하였다.아마 업
일단 저번에도 말했다시피 우리의 목표는 챗봇을 만드는 것이었다. 하지만 프론트는 어떻게 구현할지, 백엔드는 어떻게 구현할지 등등.. 고려할 점이 많았다.저번에는 별 생각없이 진행했지만, 그래도 최대한 조금이라도 익숙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는 게 나은 것 같아 모든 계획을
이 글은 이미 tistory에 있다! 근데 굳이 velog에 다시 올리는 이유는.. 일단 당분간은 velog에 모든 글을 올리기로 했기 때문이다. 굳이 따로따로 올리는 것보다 중복되더라도 모아놓는 게 나을 것 같아서..일단 올려놓고 나중에 수정할 수도 있다.우선 '프론
Socket 통신을 고른 이유 통신: 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통신을 뜻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하면 서버가 그에 해당하는 응답을 반환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