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단편화란 RAM에서 메모리가 수치적으로는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위의 그림처럼 RAM의 여유 공간은 프로세스가 올라갈 수 있을만큼 존재하지만 실제 메모리의 분포를 보았을 때에는 프로세스가 올라갈 수 없는 상태가 존재할 수 있다.
내부 단편화는 메모리가 할당될 때 프로세스가 필요한 양보다 더 큰 메모리가 할당되어 프로세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단편화를 의미한다.
외부 단편화는 메모리가 위의 그림에서처럼 메모리의 할당, 분배 작업이 반복되면서 생긴 작은 공간들이 실제 프로세스가 올라가기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지 못하는 단편화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