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BEST? BETTER!

[tkinter] command in button

tkinter를 이용해 GUI 프로그램을 만들 때 Button을 보통 위와 같은 형태로 만든다.command에는 메서드, 함수가 전해지는데 이때 parameters를 갖는 함수를 만들어 arguments를 전달할 순 없을지 궁금해졌다.https://stacko

2022년 11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ompetition] 2022 관광데이터 AI 경진대회 후기

2022 관광데이터 AI 경진대회 22.09.19~22.10.31 진행되었던 '2022 관광데이터 AI 경진대회'가 마무리되었다. 부스트캠프 활동 중 대회나 프로젝트처럼 배웠던 내용을 응용해보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고 느껴서 참가를 결정했었다. 그동안의

2022년 11월 2일
·
0개의 댓글
·

colab에서 런타임 연결이 종료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방법

colab에서 모델을 학습시켜놓고 다른 일을 할 때가 종종 있다. 그럴 때 일정 시간 자리를 비우고 colab에서의 활동이 없으면 런타임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어서 매우 불편했다.관련된 해결법을 찾던 중 많이 알려진 방법을 발견했고, 제대로 실행되도록 약간의 수정을 거쳤

2022년 10월 20일
·
0개의 댓글
·

[Flutter] Dart 기초2

Object Oriented Programming.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https://dart.dev/guides/language/language-tourclass는 일종의 틀, instance는 그 틀로 찍어낸 개별 생성물.class는 member를 가짐.

2022년 10월 18일
·
0개의 댓글
·

[Flutter] Dart 기초1

Flutter를 이용해 앱을 개발해보기로 했다. 때문에 우선 Dart에 대해 배워야 할 것 같아서 강의를 기반으로 Dart에 대해 공부하기로 했다. 앞으로 이어질 글들은 '\[코드팩토리\] \[입문\] Dart 언어 4시간만에 완전정복(from inflearn)'를

2022년 10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BAEKJOON] 암호 만들기 (1759) (python)

문제 링크어이없게도 itertools.permutations()를 생각했다. 어차피 정렬을 해주고 중복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 경우 시간 초과가 발생했다.또 처음에는 L에 따라 만들 수 있는 모든 조합을 만들어놓고 따로 체크하는 함수를 만들어 조건을 만족하는 알파벳 조

2022년 9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BAEKJOON] 보물섬 (2589) (python)

문제 링크간단히 bfs로 풀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했다. 어떤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 보물이 있고 그럴 때의 최대 거리(여기서는 시간으로 표현)를 출력하면 되는 문제였다. 즉 모든 점에 대해서 해당 점을 시작점으로 하는 bfs를 수행하고 graph의

2022년 9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BAEKJOON] 나이트의 이동(7562)

문제 링크bfs로 풀 수 있는 문제다.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8방향을 설정하고 이동 후 좌표가 처음 이동하는 좌표일 때 이전 좌표값 + 1을 해주면 된다.동시에 조건문을 사용하여 목표지점에 도달했을 시 bfs를 종료하도록 설정했다.문제 풀이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던 부

2022년 9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BAEKJOON] 토마토(7576)(python)

문제 링크기본적으로 bfs를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을 나열해보자면특정 익은 토마토(1) 하나에서만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익은 토마토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영향력이 퍼져나간다.토마토가 하나 이상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즉

2022년 9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논문 리뷰][NLP] Efficient Estimation of Word Representations in Vector Space(word2vec)

올해 상반기 부스트캠프 AI TECH 활동을 하며 같은 팀원분들과 함께 매주 논문 리뷰를 진행했었다. 부캠 활동이 끝난 뒤에도 논문 리뷰를 이어갔는데 정리와 기록의 필요성을 느껴 지난 논문 리뷰 몇개와 앞으로의 논문 리뷰는 블로그에도 기록하고자 한다.첫 게시글은 'Ef

2022년 7월 25일
·
0개의 댓글
·

[프로젝트 회고] 하루의 마침표(최종 프로젝트)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지키고자 한 모토가 있다. '완벽보다 완성'지난 프로젝트 때의 멘토님이 남기고 가신 말씀인데 상당히 중요한 말이라고 생각했다. 기한과 자원이 무제한이라면 완벽을 추구해도 좋겠지만 거의 모든 프로젝트는 그렇지 않고, 때문에 완벽보다 완성이 중요할 때

2022년 6월 16일
·
0개의 댓글
·

[프로젝트 회고] ODQA

어제자(22.06.17)로 부스트캠프 AI Tech 3기 과정이 모두 종료되었다.과정 회고는 추후 작성하도록 하고 밀린 프로젝트를 하려고 한다. (사실 프로젝트가 끝난 후 했어야 하는데 부캠 과정은 프로젝트가 끝나고 바로 프로젝트가 시작되는 구조였어서 그러지 못했다.

2022년 6월 16일
·
0개의 댓글
·

[tips] 셀레니움 브라우저 크기 조정

셀레니움을 이용해 크롤링을 하다 크롤링이 진행되는 세션 창이 너무 작다고 생각했다.다만 세션 동기화 상태에서는 세션 창과의 상호작용이 불가능해 현재 보이는 화면 위치나 화면 크기를 평소 하던 방식대로 조정할 수 없었다.구글링 해본 결과 다음의 방법들로 화면 위치 변경

2022년 6월 2일
·
0개의 댓글
·

[tips] git add -u

\[tips]에는 알게 된 간단한 tip들을 정리하고자 한다.git add -ufinal project를 하며 github로 협업하고 있었는데 내가 맡은 task를 완료 후 push하려 할 때 의문이 생겼다.새로 만든 파일이나 수정한 파일은 git add로 반영할 수

2022년 6월 1일
·
0개의 댓글
·

셀레니움 웹 크롤링 오류 모음

위처럼 해당 요소를 클릭하도록 했는데 클릭이 안될 때가 있었다. 실시간으로 세션을 확인해봐도, 실행된 결과를 봐도 클릭이 되지 않았다.이럴 때는 우선 다음의 코드를 시도해볼 수 있다.하지만 위의 방법도 통하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럴 땐 다음의 코드로 클릭을 할 수 있다

2022년 6월 1일
·
0개의 댓글
·

poetry

부캠에서 FastAPI에 대해 배우던 중 poetry를 사용하여 의존성을 관리하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쉘에 설치된 패키지들을 유지한 채(즉 쉘을 종료하지 않고 유지한 채) 가상환경만 바꾸고 싶으면?exit 가상환경 비활성화, 쉘 종료deactivate 가상환경 비활

2022년 5월 23일
·
0개의 댓글
·

5.18 (수)

회고 에러 에러를 마주했을 때 '아 지금 할 것도 많은데 또 에러야?'라는 짜증보다 '언젠가 마주할 에러를 그나마 여유 있을 때 만났구나', '하나만 배울 걸 여러 개를 배울 수 있어서 좋다'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솔직히 짜증은 났다) 프로젝트 파이널 프로젝트에 대한

2022년 5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error] CUDA out of memory

서버에 모델을 올리고 학습하려던 중 낯선 에러가 떴다.메모리가 부족하다길래 확인해봤다.음? 전혀 부족한 것 없는데..?열심히 구글링을 해봤지만 해결되는 것은 없었다. 그러던 중 문득 든 생각 하나.당시 이미지 분류 대회를 하며 베이스라인 코드를 변경하고 있었는데 이미지

2022년 5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IL] 03.10(목)

seq2seqbottleneck problem : previous hidden state 정보 누적 및 압축 → 손실 발생 및 time step 간 거리가 멀 경우 정보 반영 ↓attention"focus on particular part on source sequen

2022년 3월 11일
·
2개의 댓글
·

[TIL] 03.08(화)

varnilla RNNgradient exploding/vanishingLSTM(Long Short-Term Memory)GRUpytorch를 이용한 RNN의 구체적 구현방법tensor를 다루는 방법

2022년 3월 10일
·
1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