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Xcode-select

뭉탱이·2022년 12월 18일
0

Xcode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되면서 여러 버전이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디펜던시나 호환 문제로 인해 전 버전이나 특정 버전을 타겟으로 해서 사용하게 될 경우도 존재한다.

이를 위해 Xcode의 특정버전에 이름을 붙여 사용하기도 한다.

Xcode의 버전스위칭을 위해서(좀더 쉽게 말하자면 현재 액티브한 버전을 바꾸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Xcode-select [—switch] [path]

좀 더 쉽게 풀어쓰자면 다음과 같다.

Xcode-select —switch /Applications/[your xcode].app/Contents/Developer

참고로 현재의 Xcode 확인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다.

Xcode-select -p

많은 맥사용 개발자들에겐 기초적이면서도 익숙한 것이겠지만
맥을 이용해 개발을 시작하는 나에게는 이제서야 알게된 사실도 있다.

맥에서 기본적인 unix/linux 툴킷, git/svn 버전관리툴, gcc/make 컴파일툴 등을 사용하기 위해선 homebrew나 command line tools(명령어 관리 도구) 가 필요하다.

물론 xcode를 설치하는 순간 command line tools는 자동으로 설치가 된다.

하지만 개발자가 아닌 직군의 사람들이 사용하기 위해선 10GB가 넘는 xcode를 설치하는 것은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이다.

따라서 macOS 터미널에서

xcode-select --install 

명령어를 치고

위와 같은 창이 뜨면 150MB ~ 200MB 의 Command Line Tools를 설치해주면 된다.

profile
메타유목민을 꿈꾸는 청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