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4-2 - 서버를 구축하는 데 알아야 할 필수 개념과 명령

ITKHJ·2024년 3월 22일
0

Server

목록 보기
19/32
post-thumbnail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사용자와 그룹

  • 리눅스 : 다중 사용자 시스템
  • /etc/passwd : 모든 사용자 계정 확인
    - 파일 구조
    사용자 이름:비밀번호:사용자ID:사용자가 소속된 그룹 ID:전체이름:홈디렉터리:기본 셀
  • /etc/group : 모든 그룹 정보 확인
    - 파일 구조
    그룹 이름:비밀번호:그룹ID:그룹에 속한 사용자 이름

useradd 신규 사용자 추가

  • 이 명령을 실행하면 fetc/passwd, /etc/shadow./etc/group 파일에 새로운 행이 추가

passwd : 사용자 비밀번호 지정 및 변경

  • passwd username (계정명)

  • OS에 따라 계정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변경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해당 계정에서 passwd로 바꾸기 보다는 꼭 우측에 계정명을 넣어서 변경해주는 것이 좋다

usermod : 사용자 속성 변경 (옵션은 useradd와 동일)

  • 명령어 : usermod -g root newuser
  • newuser 사용자 그룹을 root 그룹으로 변경

userdel : 사용자 삭제

  • userdel username (계정명)

chage :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책 확인 및 수정

  • chage -1 username (계정명)
    이 명령어로 현재 어떤 정책이 걸려 있는 지 확인
    추가 변경은 /etc/1ogin.defs 이 파일을 편집하여 수정함

groups :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 표시

  • groups 현재 사용자의 소속 그룹 출력
  • groups username (계정명) 해당 계정의 소속 그룹 출력

groupadd : 새로운 그룹 생성

  • groupadd groupname 명령어로 생성

groupdel : 그룹 삭제

  • groupdel groupname 명령어로 삭제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와 허가권

  • 파일 유형에 d가 있으면 디렉토리 아니면 그냥 파일 정도로 알면 됨
  • 파일 허가권 : 소유자의 권한, 그룹의 권한, 그 외 사용자의 권한
    r/w/x : 읽고/ 쓰고/ 실행하고
    chmod 644 등으로 권한 부여 (r-wr--r--)
  • 파일 소유권 :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와 그룹을 의미함
    chown -R rocky.rocky 해당 디렉터리의 하위 모든 파일까지
    포함하여 소유자 rocky, 그룹 rocky로 변경
    -R 옵션을 제외하면 하위 모든 파일이 아닌 디렉터리만 소유권이 변경됨

리눅스 관리자를 위한 명령어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RPM

  • RHEL 계열 리눅스에서 패키지(프로그램 모음 또는 꾸러미)를 설치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RPM, DNE (또는 YUM)
  • RPM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설치 파일의 확장자
    (보통 패키지이름-버전-릴리스번호-리눅스 버전-아키텍처 rpm으로 표기됨)
  • RPM 설치 : pm Uvh 패키지명-rpmn
    U : 설치가 안되어 있으면 설치하고 설치 되어 있으면 업데이트 함
    v : 설치 과정 확인
    h : 설치 진행 과정을 표 기호를 붙여 화면 출력
  • RPM 삭제 : rpm -e 패키지명-rpm
  • rpm 설치 목록 확인 : rpm -ga
  • 이미 설치된 패키지 조회 : rpm -qa | grep 패키지명
  • RPM의 단점 : 의존성 (예: X원도가 설치 되지 않은 경우 Eltefox 설치가 제한되는 경우 등)

편리하게 패키지를 설치하는 DNF

  • RPM은 의존성 문제로 불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제공되는 명령이 DNE

  • DNF : rpm 패키지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

  • DNF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설치 시에 관련 패키지를 인터넷으로 다운로드 받아 자동으로 설치 해주는 장점

  • DNF나 YUM은 다운로드 받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 인터넷이 연결 되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은 URT 경로는 /etc/sumIepos.d 파일에 저장되어 있음

  • DNF 설치 : dnf -y install 패키지명

  • dnf로 rpm 설치 : dnf install rpm파일명.rpm

  • 업데이트 가능 목록 보기 : dnf check-update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 확인 가능)

  • 패키지 업데이트 : dnf update 패키지명

  • 패키지 삭제 : dnf remove 패키지명

  • 패키지 정보 확인 : dnf info 패키지명

파일 압축과 묵기

  • tar.gz 압축 : tar -cvxf 압축 파일명 압축 대상 파일명
  • tar.gz 해제 : tar -xvzf 파일명
  • tar 압축 : tar -cvf 파일명
  • tar 해제 : tar -xvf 파일명
  • zip 압축 : gzip -9 파일명(-9 옵션 : 최저 용량 압축)
  • zip 해제 : unzip 파일명
profile
모든 업무 지식 작성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