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강사님이 오전에 온라인 강의실으로 들어 오셔서 첫 회고 강의를 해주셨다.
백엔드 파트에서 근무하셨고 얼마 전 까지 현업에 있던 분이시라 회고 강의를 맡아주신 것 같다.
회고 강의는 총 7번 정도 이뤄지고 현업 관점에서 현업 이야기를 해주신다고 했다.
오늘은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들려주셨다.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
요구사항 파악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요구사항 파악은 주로 기획자의 역할이라고 한다.
요구사항이 분석된 것을 가지고 개발자는 설계, 구현을 한다고 하셨다.
이 과정에서 기획자랑 개발자 사이에서 많은 대화가 오고 간다고 하셨다.
[신규 입사 후]
신입 교육이나 미니 프로젝트
ex) 한달동안 특정 기능 만들고 배포해보기
개발 환경(프로세스) 이해
local(로컬 개발 환경), dev(서버 개발 환경), qa(테스팅 환경), <= 개발을 주로 하는 곳
stage(스테이징 환경), prod(운영환경) <= 사용자와 밀접
회사에서 사용하는 업무용 도구 소개
코드 작업/리뷰 - 깃/깃허브, 깃버켓
티켓(작업) 관리 - 지라, 깃버켓
빌드 & 배포 - 젠킨스
모니터링 툴 - 그라파나
지라를 사용하는 곳에서 하나의 이슈가 배정되는 것을 지라 티켓을 할당받는다라고 표현하는 것 같다.
이슈는 팀이 식별하고 있는 작업 항목의 단위로서, 하나의 업무 당 하나의 이슈가 배정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일할 때 사용하는 용어
MVP(Minimun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제품 콘셉트의 가장 초기 단계 버전
고객이 회사의 아이디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평가하는 실험
예시) 에어비엔비 : 에어매트리스와 아침식사를 제공하고 1박당 가격을 제시하는 간단한 웹사이트 제작
=> 3명의 손님을 구하는데 성공
A/B Test
기존 화면인 A안과 특정 요소를 반영한 B안을 비교하여 어떤 것이 더 좋은 성과를 나타내는지 측정하는 실험
테스트 종료 후 결과가 좋은 것을 결정하여 배포
개발을 2번해야하고 사용자의 액션을 다 파악해야한다..
OKR(Objective Key Results)
객관적인 목표를 우선 설정하고 <= Objective
이것이 달성되었다는 것을 측정 가능 목표치로 설정 <= Key Results
성장하기위한 방법
주기적인 회고를 통해 스스로 피드백을 해보고 단점보다는 강점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기
잘한점, 아쉬웠던점, 개선할점 적어보기
[나의 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