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를 알아보고 설치하여 쿠버네티스 리소스를 모니터링 해보겠습니다.
Elastic Beanstalk에서 Docker 플랫폼 사용시 core dump file의 증가로 디스크 용량이 초과되는 이슈를 다룹니다.
External DNS에 대해 알아보고 컨테이너에 도메인을 연결해봅시다🧐
해당 포스팅은 tensorflow serving을 github action과 aws elastic beanstalk를 이용해 ci/cd를 구축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tensorflow 환경에서 학습된 딥러닝 모델(deeplearning model)을 사용자에게 서빙(serving)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룹니다.
AWS EC2 보안 그룹은 외부에서 해당 EC2로의 접근을 허용/제한하는 인바운드 규칙과 해당 EC2에서 외부로의 접근을 허용/제한하는 아웃바운드 규칙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최근 많은 웹 또는 앱 서비스에서 추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들의 사용성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만큼 추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인력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죠..! 그래서 저도 한발 담궈보고자 추천 시스템을 열심히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Style Transfer Model 서비스 해보기 시리즈에서 사용한 Style Transfer Model 코드를 리뷰하는 포스팅입니다.
해당 포스팅은 Style Transfer deeplearning 모델을 웹으로 서비스해보는 시리즈의 3편입니다. 3편에서는 구현한 페이지를 CI/CD를 적용하여 배포하는 기능을 구현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Style Transfer deeplearning 모델을 웹으로 서비스해보는 시리즈의 2편입니다. Tensorflow Hub에서 받아온 Model과 FastAPI를 사용하여 Style Transfer가 적용된 결과값을 반환하는 API를 구현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Style Transfer deeplearning 모델을 웹으로 서비스해보는 시리즈의 1편입니다. 1편에서는 FastAPI와 Jinja2를 활용하여 메인 페이지와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구현합니다.
AWS Lambda는 단순 코드뿐 아니라 Docker Image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Lambda를 Docker로 구축하는 방법을 가이드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AWS VPC의 이해와 생성 과정을 다룹니다. (+ AWS Lambda와 연결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해당 포스팅은 AWS EKS 클러스터 기반에서 Kubeflow를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다룬 시리즈 중 세번째 포스팅입니다.
해당 포스팅은 AWS EKS 클러스터 기반에서 Kubeflow를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다룬 시리즈 중 두번째 포스팅입니다.Kubeflow 설치과정을 다룰 예정이니 AWS EKS 클러스터 구축은 이전 포스트를, 예제 실행은 다음 포스트를 참고해주세요.
해당 포스팅은 AWS EKS 클러스터 기반에서 Kubeflow를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다룬 시리즈 중 첫번째 포스팅입니다.AWS EKS 클러스터 구축 단계까지만 다룰 예정이니 Kubeflow 설치 방법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