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컴퓨터 역사를 이야기할 때 최초의 전전자식 컴퓨터가 에니악이라는 것과 에니악을 만든 남성 개발자들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빠지지 않고 나온다. 하지만 실제로 에니악을 작동시키는 일을 했던 개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평소에 최범균님 유튜브 구독해서 간간히 영상도 잘 보고있고 <객체지향과 디자인 패턴> 책도 잘 읽었어서 신간이 나온걸 보고 바로 선택했다.책의 초반부에는 개발이 무엇인지, 어떻게 학습
설치실행, 상태 확인, 종료, 재실행nginx -tnginx: the configuration file /etc/nginx/nginx.conf syntax is oknginx: configuration file /etc/nginx/nginx.conf test is su
우분투에서는 apache2로 설치systemctl start apache2 systemctl status apache2 systemctl stop apache2 systemctl restart apache2 systemctl reload apache2 \`\`\`설정
한빛미디어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느낀 점 이번 책은 파트 1, 2에서 궁금한 부분만 찾아서 읽었다. 지금 회사에서 마이크로서비스를 적용할 계획은 없지만 개인적으로 궁금했던 내용이어서 재미있게 읽었다.기본적으로 모놀리스에서 마이크로서비스로 넘어가게 되는 배경 지식과 관련 기술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 커뮤니티 특성마다 관계나 규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등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았고 글도 쉽게 읽히는 편이었다. 각 장마다 집중적으로 이야기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작년에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매번 수동으로 배포하다보니 귀찮기도 하고 여러 이유들로 CI/CD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관련 스터디도 참여하고 혼자 강의 보면서 실습도
Jackson 클래스에 @JsonNaming 애노테이션 붙여서 네이밍 정책을 지정하면 자동으로 이에 맞는 필드의 값이 바인딩된다. 주로 json 문자열에서는 필드명을 snake_case 형태로 쓰고, 자바에서는 camelCase를 사용한다. 이름의 형태가 다른 경우에 이걸 한쪽에 맞추게 되면 다른 쪽에서는 조금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때 필드명이...
프론트단에서 select box에 들어가는 값들은 많은 경우에 공통코드로 등록된 값을 가져오고 있다. 이때, 공통코드를 백엔드단에서 Enum 클래스로 가지고 있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Enum 클래로 만들어서 관리해주는 경우는 언제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언제일까? 현재
요약: 가독성이 좋은 쪽으로 + 성능에 유리한 쪽으로 주문 정보를 가져오는 기준으로 7일 전 15시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에는 쿼리문에 해당 부분을 계산하는 SQL이 작성되어 있었다. 근데 개인적으로는 기준이 되는 부분(DATE_SUB(...생략))을 바로 알아보기 어려웠고 하나하나 뜯어보고 나서야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날짜 기준은 정책상으로 ...
서비스 소개 검색 엔진 (e.g. 구글) 기존에 설계한 웹 크롤러 기반으로 설계 Q&A 결과의 합리적 기준이란? 아무 뜻 없이 키워드만 반복 X 검색자가 찾는 정보를 주는 결과 O 그건 어떻게 측정하나? 페이지를 보고 돌아오면 원하는 결과 못 얻음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분산 아키텍처를 구축할 때 서비스를 나눌 때와 합칠 때는 각각 언제인지, 어떤 점을 고려해서 수행해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각 챕터는 실무자들이 기존 아키텍처의 문제점을 찾아서 무엇이 문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한빛미디어 리뷰어로 선정되었다. 첫 책으로 <자바스크립트로 배우는 SICP>를 선택했다. "프로그래머 필독서"라고 하면 꼭 목록에 포함되는 책 중에 하나이다. 이전에도 몇 번 원서 읽
깃허브 블로그를 만들어보려고 했는데 시작하기도 전에 문제가 좀 있어서 기록해둔다.먼저 Jekyll을 다운받기 위해서 gem으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려고 했는데 에러가 났다.찾아보니까 바로 이동욱님의 블로그에 해결 방법이 나와있었다. 스택오버플로에도 비슷하게 Mick이
레퍼런스 > > - https://www.bmc.com/blogs/docker-cmd-vs-entrypoint/ > - https://docs.docker.com/engine/reference/builder/#understand-how-cmd-and-entrypoint-interact 둘 다 컨테이너 시작시 실행할 명령어를 지정해준다. 컨테이너를 시작하려...
김영한님의 스프링 MVC 1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FrontControllerServlet이 HttpServlet 상속handlerMappingMap을 HashMap으로 초기화 -> initHandlerMappingMap에서 직접 목록 써줌MyHandlerA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서버 HTTP 기반 동작 정적 리소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HTTP 기반 동작 애플리케이션 로직(동적)에 특화 웹 시스템 구성 was, db 만으로 시스템 구성 가능 was가 너무 많은 역할을 하면 서버 과부하의
개발을 시작하면서 공부는 해야 하는데 내 지갑은 한없이 가벼웠다. 그러다보니, 강의 헌터(?)로서 돈이 아깝지 않을 강의를 찾아 여러가지 개발 강의 플랫폼을 이용해보았다. 그 중에서 Coursera와 Udemy가 양질의 콘텐츠가 많았고, 한국어 강의는 인프런을 주로 들
similarweb이라고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을 해주는 곳이다. 전월 평균 트래픽 수랑 어떤 검색어로 유입되는지, 성별/나이대별 방문자 비율(이건 어떻게 알고 집계하는걸까) 등등 웹사이트 주소만 치면 다 볼 수 있어서 심심할때 들어가서 이것저것 보면 재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