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는 NFT 거래 서비스를 만들며 겪은 시행착오와 해결과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의욕은 넘치지만 아직 배우는 과정인 신입 개발자가 쓴 글이기 때문에, 틀리거나 더 좋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틀린 내용이 있거나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글에서 노드(Node), 블록체인 서버(BlockChain), 메인넷(...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커밋 또는 로백 작업이 일어난다. 트랜잭션이 롤백되었을때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트랜잭션 롤백으로 인해 자동으로 롤백된다. 하지만 외부 환경의 경우 롤백처리를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까?
NFT 도메인의 상태 NFT는 항상 어떠한 상태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NFT 상태를 조회할 때 마다 메인넷에 트랜잭션을 조회하면 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직관적이지 않고 성능 또한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 이유로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요청 중 TRC-721(NFT)의 상태는 데이터베이스나 캐시에 저장하여 조금 더 효율적으로 개선해야됐다. 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