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Combine을 조금씩 공부해보고 있다. 커스텀 연산자도 만들어보면서.. 근데 이 과정에서 신기한 것이 있었다. 바로 subscribe(on:) Combine 연산자.아래는 나와 회사 팀원들이 같이 고민해보고 찾아본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글이다.
Combine Scheduler로 `DispatchQueue.main`을 썼을 때와 `RunLoop.main`을 썼을 때, 차이가 존재할까? 그냥 둘 중 아무거나 사용해도 상관없는걸까?
어느날 문득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궁금해졌다. 1. `@Published` 프로퍼티를 View에서 쓰고 있지 않을 때에도 해당 프로퍼티 변화가 뷰 렌더링을 일으킬까? 2. `@State` 프로퍼티는 어떨까? View의 body에서 안쓰고 있을 때 값 변화를 ...
이 고급 세션에서는 구조체, 클래스, 프로토콜 및 제네릭이 Swift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알아본다. 다양한 성능 차원에서 상대적 비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그리고 이 정보를 적용하여 코드 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자.
MVVM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뷰)의 개발을 비즈니스 로직 또는 백-엔드 로직(모델)로부터 분리시켜서 뷰가 어느 특정한 모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도록 해주는 패턴이다. → 패턴을 쓰고자 하는 목적은 MVC디자인 패턴과 크게 다르지 않다. (관심사의 분리)
기본적으로 MVC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은 '화면(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관심사 분리'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