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주전 클라썸에 공고가 올라왔을 때부터 참여하고 싶었던 '우리 FISA 갓생살기 챌린지'
당시에는 일상 블로그와 함께 정리하기에 여력이 되지 않아,,,,(사실 핑계임) '다음주부터 해야지', '다음주부터는 꼭 해야지...' 미루다 velog에 드디어 시작합니다!
"AWS.. AWS..." IT에 관심있다면 AWS를 들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만큼 핫한(?)🔥, 없어서는 안되는(?) AWS를 그동안은 혼자서 책이나 다른 매체를 통해서만 공부했었는데, 처음으로 선생님을 통해 대면 수업으로 배워봤다👀
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Amazon)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가상 컴퓨터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비즈니스와 개발자가 웹 서비스를 사용하여 확장 가능하고 정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도록 지원
여기서부터는 실습한 내용을 첨부해서 함께 정리했습니다
< S3 사용 예 >
1) 클라우드 저장소
2) 서비스 대용량 파일 저장소
3) 서비스 로그 저장 및 분석
4) AWS 아데나를 이용한 빅데이터 업로드 및 분석
5) 서비스 사용자의 데이터 업로드 서버
👊그렇다면 이제 진짜 S3를 만들어보자!!
S3에는 Bucket과 Object 라는 단위가 있다
1) 객체 :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저장 단위
2) 버킷 : 객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
여기서 잠깐!! 수업해서 나온 URL, URI 짚고 넘어가기
URI :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어디에 있는지 자원 자체를 식별하는 방법
URL : 파일 식별자(Uniform Resource Locator)는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
출처, 참조 링크
https://inpa.tistory.com/entry/WEB-%F0%9F%8C%90-URL-URI-%EC%B0%A8%EC%9D%B4
#1 AWS Bucket 만들기 후기
- 제공해주신 AWS 계정이라 뭔가 마음이 편-안... 잘못하면 요금 폭탄 맞는다고 함;(그렇지만 함부러 쓰지 않고 조심스럽게 필요한 부분에서 사용할 것)
- 그동안 발만 스을쩍 찍어봤던 AWS에 대해 step by step으로 배우면서 활용할 수 있는 분야도 생각하게 됨 (작성 시점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도 적용할 예정)
- URL과 URI는 간단한 사이트 공유할 때도 매일 보고 사용했던 용어인데 이번 강의를 통해 제대로! 정확히! 차이를 정리할 수 있었음 (앞으로 용어 의미 제대로 알고 사용하겠음)
- 어디서 어떻게 에러가 나는지 확인하면서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지 같은 에러를 만났을 때 덜 당황하고 해결 할 수 있음 (눈으로 보기만 하는 것보다 직접 수정해봐서 잊지 않음)
- 우리FISA를 통해 좋은 기호로 제공 받은 AWS 계정 남은 교육 기간동안 야무지게 사용해서 교육이 끝날 시점에는 AWS 전문가...는 아니더라도 어디가서 당당하게 "AWS 사용해보았습니다!" 말할 수 있는 능력치를 키울 것!
안녕하세요!!! 우리FIS 아카데미 관심있는 학생입니다. 수료하고나서 우리FIS로 채용되는 경우가 어느정도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