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FISA 갓생살기 챌린지_AI 엔지니어링] #1 Amazon Web Service_Bucket 만들기 (8/7~8/13)

Hyunji Kim·2023년 8월 12일
0
post-thumbnail

약 2주전 클라썸에 공고가 올라왔을 때부터 참여하고 싶었던 '우리 FISA 갓생살기 챌린지'

당시에는 일상 블로그와 함께 정리하기에 여력이 되지 않아,,,,(사실 핑계임) '다음주부터 해야지', '다음주부터는 꼭 해야지...' 미루다 velog에 드디어 시작합니다!


"AWS.. AWS..." IT에 관심있다면 AWS를 들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만큼 핫한(?)🔥, 없어서는 안되는(?) AWS를 그동안은 혼자서 책이나 다른 매체를 통해서만 공부했었는데, 처음으로 선생님을 통해 대면 수업으로 배워봤다👀

AWS란?

  • 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Amazon)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가상 컴퓨터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비즈니스와 개발자가 웹 서비스를 사용하여 확장 가능하고 정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도록 지원

AWS의 장점

  • 저렴한 비용으로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점차 사용을 늘릴 수 있음 ("사용한 만큼 지불")
  • 속도 및 민첩성
  • 단시간에 전 세계 배포 가능

AWS의 단점

  • 보안
  • 비용...서버가 작을 때는 저렴한 비용이라는 장점이지만, 서버가 커지면 '숨만 쉬어도 돈이 나간다' 라는 말이 있음 ("사용한 만큼 지불")

여기서부터는 실습한 내용을 첨부해서 함께 정리했습니다

AWS 로그인

  • 개인별로 제공해주신 개정으로 로그인

S3 만들기

S3란?

  • Simple Storage Service이며 S 앞글자가 3개라서 S3
  • 온라인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
  • 파일 저장 서비스이며,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오브젝트 형태로 저장하는 서비스
  • 저장하는 데이터 양에 대한 비용이 저렴하고,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무한에 가까움
  • S3는 파일 업로드, 삭제, 업데이트만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저장하는 기능은 없음

< S3 사용 예 >
1) 클라우드 저장소
2) 서비스 대용량 파일 저장소
3) 서비스 로그 저장 및 분석
4) AWS 아데나를 이용한 빅데이터 업로드 및 분석
5) 서비스 사용자의 데이터 업로드 서버

👊그렇다면 이제 진짜 S3를 만들어보자!!

  • 위에서 로그인한 AWS 페이지에서 왼쪽 상단 서비스 > 스토리지 > S3 클릭

  • 오른쪽 중앙 버킷 만들기 클릭

S3 객체 / 버킷

S3에는 BucketObject 라는 단위가 있다
1) 객체 :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저장 단위
2) 버킷 : 객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

  • S3를 구성할 때, 버킷(Bucket) 이라는 컨테이너를 놓을 리전(Region) 을 선택하고, 해당 컨테이너 내부에 객체(Object) 라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로 스토리지를 구축
  • 한 계정 당 버킷은 최대 100개까지 사용이 가능하고, 버킷 단위로 접근 제한 설정 가능
  • 단, 버킷의 소유권은 이전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해야 함!

출처, 참조 링크
https://inpa.tistory.com/entry/AWS-%F0%9F%93%9A-S3-%EB%B2%84%ED%82%B7-%EC%83%9D%EC%84%B1-%EC%82%AC%EC%9A%A9%EB%B2%95-%EC%8B%A4%EC%A0%84-%EA%B5%AC%EC%B6%95

  • 원하는 버킷 이름 작성
    주의📌 버킷이름에는 (underbar)가 들어가면 안됨! 처음에 를 넣어서 만들었다가 수정했음..!
  • AWS 리전은 '서울'로 지정

  • 액세스 차단 설정은 사용 목적에 따라 지정 가능
  • 수업에서는 특정 항목에 대해 체크하지 않음
  • 하단에 ' 현재 설정으로 인해~~' 체크

  • 수업에서는 고급설정 '비활성화'

  • 검색을 통해 내가 만든 버킷을 찾을 수 있다
  • 'hyunji-bucket'과 'hyunji-bucket2'는 수업시간에 만든 버킷
  • 'hyunji-pracitce-bucket'은 복습하면서 만든 버킷

  • 원하는 버킷에 들어가서 폴더를 만들 수 있음

  • 버킷 만들기와 동일하게 폴더 이름을 작성
버킷에 파일 추가하기

  • 업로드 > 파일 추가
  • 우리 앙꼬 사진 '앙꼬2.jpg' 선택 후 업로드

  • 업로드를 성공했다면 버킷에서(현재 'hyunji-prctice-bucket') 해당 파일 클릭 시 속성 확인 가능
  • 파일을 열어볼 수 있는지 '객체 URL' 클릭해봄

여기서 잠깐!! 수업해서 나온 URL, URI 짚고 넘어가기
URI :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어디에 있는지 자원 자체를 식별하는 방법
URL : 파일 식별자(Uniform Resource Locator)는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

출처, 참조 링크
https://inpa.tistory.com/entry/WEB-%F0%9F%8C%90-URL-URI-%EC%B0%A8%EC%9D%B4

  • 로 'AccessDenied> 되었다는 문구를 만남...

  • 개발자라면 마주하고 싶지 않은 에러ㅠㅠ

  • 그러나 눈물 닦고 해당 에러에 대해 권한을 수정해주면 됨!
  • 업로드한 파일 > 권한 > 편집

  • 편집에서 > 액세스 제어 목록 편집 > '모든 사람(퍼블릭 액세스)' 체크

  • 속성 > 객체 작업 > 'ACL을 사용하여 퍼블릭으로 설정'

  • 모든 설정 편집 후 다시 동일한 URL을 들어가면 귀여운 앙꼬 사진 확인 가능!🐶✨

  • 후후 AWS Bucket 만들기와 파일 업로드 성공✌✌

#1 AWS Bucket 만들기 후기

  • 제공해주신 AWS 계정이라 뭔가 마음이 편-안... 잘못하면 요금 폭탄 맞는다고 함;(그렇지만 함부러 쓰지 않고 조심스럽게 필요한 부분에서 사용할 것)
  • 그동안 발만 스을쩍 찍어봤던 AWS에 대해 step by step으로 배우면서 활용할 수 있는 분야도 생각하게 됨 (작성 시점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도 적용할 예정)
  • URL과 URI는 간단한 사이트 공유할 때도 매일 보고 사용했던 용어인데 이번 강의를 통해 제대로! 정확히! 차이를 정리할 수 있었음 (앞으로 용어 의미 제대로 알고 사용하겠음)
  • 어디서 어떻게 에러가 나는지 확인하면서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지 같은 에러를 만났을 때 덜 당황하고 해결 할 수 있음 (눈으로 보기만 하는 것보다 직접 수정해봐서 잊지 않음)
  • 우리FISA를 통해 좋은 기호로 제공 받은 AWS 계정 남은 교육 기간동안 야무지게 사용해서 교육이 끝날 시점에는 AWS 전문가...는 아니더라도 어디가서 당당하게 "AWS 사용해보았습니다!" 말할 수 있는 능력치를 키울 것!

  • 직접 만들어본 AWS 개발진스로 마무리🌈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9월 20일

안녕하세요!!! 우리FIS 아카데미 관심있는 학생입니다. 수료하고나서 우리FIS로 채용되는 경우가 어느정도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