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 int d, boolean[] included) {
int answer = 0;
for (int i=0; i<included.length; i++) {
if (included[i] == true) {
answer += a + d*i;
}
}
return answer;
}
}
처음에는 등차수열 배열을 따로 만들어야되나? 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필요가 없었다! 그냥 a + d*i 로 해결.
(a, a+d, a+d+d, a+d+d+d, .... 이런식으로 등차수열이 진행되기 때문에)
if(included[i] == true) 와 if(included[i])는 같은 의미이다. 풀이를 보면 대부분 == true 생략하고 쓰시더라!
배열의 길이는 배열이름.length 로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