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4/8
16_산술 연산자(덧셈, 뺄셈)
- 연산자란?
- result 함수 이용하여 계산해주는 값 (=, +, -, * 같은 것들)
- 프로그램에서 같다는 뜻은 = 가 아니라 == (등호 2개)로 표시해야 함

<이미지 출처: 제로 베이스 데이터 스쿨 강의 자료>
연산 & 형식문자 콜라보 예시
- 연산만 하니까 소수점 자릿수 너무 길다.
- 그래서 형식문자 (%s: 문자, %d: 정수, %f: 실수) 활용해 소수점 자릿수 줄여보자.

덧셈 주의사항:
- 정수 + 실수 덧셈 가능: 3 + 0.14 가능
- 문자끼리 덧셈 가능: Good + morning 가능
- 숫자와 문자 덧셈 불가: 10 + monrning 불가능
실습
- 입력 = input 함수 떠올리기
- 숫자로 출력해야 하니 int 추가하기
- {중괄호} 안에 값을 넣기 위해 .format 포맷 함수 사용하기


뺄셈 주의사항:
- 정수 (num) 끼리, 실수 (fnum) 끼리 뺄셀 가능
- 정수 - 실수 뺄셈 가능
- 문자끼리 덧셈 가능하지만 뺄셈 불가능: Good - morning 불가능

실습


17_산술 연산자(곱셈, 나눗셈)
- 숫자(정수(num), 실수(fnum)) 곱셈 가능
- 문자 곱셈 가능 (hi 를 7번 곱하기)

나눗셈 소수점 자릿수 조정하기
-
{중괄호}.format 함수 대신 소수점을 나타내주는 형식문자인 %f 사용하면 좋겠죠?
-
{중괄호}.format 함수 자리에 %f % 넣으면 됨
-
소수점 자릿수 줄이고 싶으면 f 앞에 .2 추가

-
나눗셈 결과는 항상 float (실수)로 나옴
-
나눗셈 소수점 보이는 거 싫어요. 정수(int)로 출력할래요.
int 함수 추가하면 됨

실습
- 입력해야 하니까 input 함수
- 합계는 더하기, 평균은 나누기
- 나눗셈은 소수점이니까 {중괄호}.format 함수 대신 %f % 로 바꾸기
- 소수점 자릿수 줄이려면 f 앞에 .2 추가


18_산술 연산자(나머지와 몫)
- 나눗셈 결과 나머지, 몫 따로 구하는 법
- 예) 10 나누기 3 = 3.33 인데
- 이 중 나머지(%)는 1, 몫(//)은 3

divmod 함수
- 나머지, 몫 한번에 구하는 함수
- 몫 (0), 나머지 (1) 순서로 출력됨

실습

방법 1)
- 데이터 입력 input 함수부터 사용
- 값을 구해야 하니까 앞에 int 함수 추가
- 몫은 //, 나머지는 % 로 연산하기
- {중괄호}.format 함수로 출력하기

방법 2)
- 몫 // 나머지 % 로 값을 따로 구할 필요 없이,
- result = divimod 함수 (0. 1 순서로) 사용

실습
- 전체 학생 수..와 같은 문자가 아닌 숫자만 있으므로 input, int 함수 필요 없이 숫자를 그대로 표기하면 됨
- 출력할 때는 {중괄호}.format 함수를 쓰고,
- 몫, 나머지는 result = divmod 함수 (0. 1 순서) 를 쓴다.

19_산술 연산자(거듭제곱)

- sqrt 함수 (2제곱근만 구하기, 3제곱근 불가)
- pow 함수 (거듭제곱 구하기)


실습
(아직 이해 안 됨 ㅠㅠ
200에 왜 0.01 곱하고 나중에 100은 또 왜 곱하는지)


20_복합연산자 (무슨 말인지? ㅠ)
- 프로그램에서 등호 = 는 왼쪽, 오른쪽 값이 같다는 뜻이 아니라
- 오른쪽 값을 왼쪽에 할당하다는 뜻!



실습



- 맨 아래쪽에 ------------------ 선 추가하고 싶을 때?
- print('-' * 30) 하면 됨

참고: 위 이미지는 제로 베이스 데이터 스쿨 강의 자료를 캡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