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항이 잘 정해져 있을 수록 선택이 쉬워진다.비슷하게, 문제 정의를 잘 할 수록 문제해결 방향이 잘 보임.예를들어 API 의 응답시간을 50ms 미만으로 만들어 주세요.\-> 그에 맞게 필요한 것들을 해내면 됨.제약사항이 없을 경우이게 필요할까? 저게 필요할까? 이
모든 코드는 의도를 담아야 한다. 프레임 워크에서 자동으로 제공하는 기능들을 조심하자. 에러도 잘 설계해야한다. API 응답으로 나가는 에러 메시지에 내 의도가 없는 서버 내부 에러를 그대로 보내지 말자. 관리 포인트를 최대한 줄이자. 코드는 자연스레 복잡해진다
어떤 모듈을 include 하거나 extend하는 것을 믹스인 이라고 했다. 믹스인은 다른 클래스에 추가하는 코드의 세트 이고, 모듈은 메서드와 상수의 모음이다.dry한 코드를 만들때 보통 공통 로직을 모듈로 빼고, 필요한 클래스에서 그 모듈을 포함시켜 사용한다. 모듈
Mixin이란? 간단히 말하자면 특정 코드를 다른 클래스에 포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믹스인은 상속과는 달리 엄격한 단일 상속관계를 만들지 않고, 원하는 기능만 하위로 전달할 수 있다. (개념상)하위 클래스는 믹스인한 부모 모듈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있지
Mediates between the domain and data mapping layers using a collection-like interface for accessing domain objects. - Patterns of Enterprise Applicati
Mysql 기준특정 컬럼을 기준으로 메모리 영역에 목차를 생성 하는 것.insert, update, delete 성능을 희생하는 대신 select의 성능을 높인다.그런데 update, delete할때도 결국 데이터를 조회 하기 때문에 인덱스가 있으면 빠르게 조회됨.\-
어떤 객체의 행위를 런타임에 바꿀수 있도록 한다.\-> 객체의 행위를 Strategy로 만들어 두고, 객체의 행동(메소드) 수정이 필요할때, Strategy를 교체함으로서 객체의 행동을 바꾼다.
앱을 런칭한지 1달 반쯤이 지나고 있습니다. 처음 사이드를 시작했을때의 기억이 생생하진 않지만, 더듬더듬 떠올려보며 공유해 볼게요!왜 시작했는지, 어떤 목표가 있었는지, 실행은 어떻게 했는지?
루비에는 블럭이라는 문법이 있다. 스위프트의 클로저와 비슷하다.블럭을 통해 익명함수를 만들어 메서드에 쉽게 넘겨 줄 수 있다.
ORM ORM은 개념이다. 객체를 관계형 DB에 매핑하는것을 의미한다. ORM의 구현 방식은 다양하게 있다. 이번에 이야기할 Active Record Pattern 이나 Data Mapper Pattern은 ORM의 구현체다. Active Record Pattern
그 때는 알았는데,,😅 어떤 키워드에 대해서 알게된 후 궁금하거나 필요하다면, 배경/원리/사용법/결론을 찾고 익히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런데 나중에 다시 떠올리려하면 배경이나 원리는 잊어버리고, 사용법 및 결론만 생각나는 경우가 엄청 많더라구요 ☠️
코드 작성뿐 아니라,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는 것 같아요.다양한 고민에 대한 기록 및 공유의 목적으로 글을 적으려 합니다.이 시리즈는 코드 작성 이외에 개발자들이 하는 일, 해야하는 일에 관한 주관적인 생각들의 모음 입니다.옳고 그름을 떠나 가볍게 읽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