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할 조건을 초기화, 조건식, 증감문 순으로 넣어준다.구구단을 출력할 수 있는 함수를 만들어본다.반복문을 넣어 구구단을 만들어준다.이중반복문을 사용하여 더 쉽게 만들어본다.
string 타입과 다른 타입 사이에 + 연산자를 쓰면 string 형식으로 변환(toString)문자열의 길이를 알 수 있다.찾고자하는 문자열의 인덱스번호를 알 수 있다.찾고자하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 -> Boolean값 리턴!주로 문자열을 배열로 분리할 때 쓴
변수는 데이터를 표현하기 쉽고 언제든지 꺼내서 사용하거나 다른 데이터를 할당하기위해 사용한다.변수를 선언한다는 것은 데이터 보관함에 데이터를 넣을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선언된 변수에 할당을 해보자!동시에 선언과 할당을 할 수 도있다.할당이 될때마다 sum의 값
AJAX 는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HttpRequest의 약자로, JavaScript, DOM, Fetch, XMLHttpRequest, HTML 등의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는 웹 개발 기법이다!!!AJAX의 가장 큰 특징은 웹 페이지에
HTTP는 요청 메소드를 정의하여, 주어진 리소스에 수행하길 원하는 행동을 나타낸다.간혹 요청 메서드를 HTTP 동사 라고 부르기도 한다.각각의 메서드는 서로 다른 의미를 구현하지만, 일부기능은 메서드 집합 간에 서로 공유하기도 한다.GET : GET 메서드는 특정 리
HTTP 즉,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이다.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소통을 위해 디자인되었다.전통적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클라이언트가 H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접속 할때, IP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가 있다.만약 예를들어 IP주소가 지번 또는 도로명주소라면,Domain(도메인) name은 해당 주소에 위치한 상호(아파트나 상가 이름)으로 볼 수 있다.더 쉽게 예를 들면 ->택시를 타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PC의 주소를 나타내는 체계를 IP address(Internet Protocol address, IP 주소) 라고 한다.네 덩이의 숫자를 IP 주소라고 함위의 사진과 같이 웹 브라우저에 닷(.)으로 구분된 네 덩이의 숫자를 입력하면, 그 주소에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한 URL은 서버가 제공되는 환경에 존재하는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다.CLI환경에서 폴더와 파일의 위치를 찾아 이동하듯,슬래시(/)를 이용해 서버의 폴더에 진입하거나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그러나 기본적인 보안의 일환으로 외부에서 직접 접근이 가능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은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된다.요청이 있어야만 응답이 온다.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는 서버 마음대로 클라이언트에 리소스를 전달 하지 않는다.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알아보기 전에 프로토콜(protocol)이라는 개념을 이해해본다.프로토콜
클라이언트와 서버에대해서 알아보고클라이언트 서버 아키텍처 , 다른 말로는 2티어 아키텍처라고 불리는 설계 방식에 대해서도 알아보자.서버(server)란 데이터를 요구하면 데이터 보내주는 프로그램!즉 리소스가 존재하는곳!영어단어 그대로 제공(serve)하는 주체이다!
코딩을 배운지 이제 3달정도 되었다.긴 시간인거같지만 짧다고 느껴지기도 한다.section1에서 배운건javascript기초, HTML,CSS기초,LINUX기초GIT기초, CSS레이아웃 & Selector, 클로저와스코프개념, DOM,REACT 등많은것을 배웠다.아직
함수들을 입력받아 함수들이 입력된 차례대로 결합된 새로운 함수를 리턴하라!인자 1 : func1 -> number타입을 입력받아 number타입을 리턴하는 함수인자 2 : func2 -> number타입을 입력받아 number타입을 리턴하는 함수인자 3 : funcN
이전에 고차함수매서드인 map, filter,forEach등 을 알아보았다.고차함수는 콜백함수를 사용하는 매서드로써 브라우저내에서 브라우저의 객체로 함수인 녀석들을 매서드라고 부른다.오늘은 그중 좀 까다로워보이는 reduce를 알아보자.mdn에 나와있는 설명으로는 이러
HTML 페이지에 있는 html, head, title, body, div 등을 HTML 언어에서는 요소(element)라고 부른다.자바스크립트에서는 HTML의 요소를 문서 객체(Document Object)라고 부른다.따라서 '문서 객체를 조작한다' 는 말은 즉,'H
우리가 웹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할때 사용할 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재확인, 등 기재해야할 부분에 기재하고 회원가입을 한다.여기서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보안을 위해서 조건이 붙는걸 많이 봐왔다.예를 들어 아이디는 몇글자이상으로, 비밀번호는 숫자문자 조합, 몇글자이상~
\-> 기본 자료형 할당 (값 복사) \-> 객체 자료형 할당얕은 복사 와 깊은 복사 란??얕은 복사 : 주소값을 복사하는 것이라 변수이름만 다를뿐 같은 주소를 바라보고 있어서 한쪽을 변경하면 주소의값이 변하기 때문에 같은 주소를 바라보니 두 변수가 변해버린 같은 주소
정답 : sample함수가 리턴 하고 있는 익명함수 설명 : sample이 리턴하는 익명함수는 외부함수 sample의 스코프에 선언된 변수 value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클로저이다.
클로저란? 1.함수와 함수가 선언된 어휘적 환경의 조합 2.함수를 리턴하는 함수 3.외부의 함수의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내부함수\->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이면서 외부의 함수의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내부함수를 바로 클로저라고한다.특징 1.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여기 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