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안녕하세요
post-thumbnail

[자료구조] Tree/BST/BinaryHeap/RBT

트리는 스택이나 큐와 같은 선형 구조가 아닌 비선형 자료구조이다.선형 구조: 데이터가 연속적, 순차적으로 나열된 자료구조이다. ex) 배열, 리스트비선형 구조: 데이터의 관계가 계층적 또는 1:n, n:m 관계를 갖는 자료구조이다. ex) 트리, 그래프트리는 계층적 관

2022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

[자료구조] Set

데이터를 비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순열 자료구조이다.Array, List와 마찬가지로 수정이 가능하다.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빠른 탐색이 필요한 경우에 주로 쓰인다.비순차적이기 때문에 삽입 순서대로 저장되지 않아서, 특정한 순서를 기대할 수 없다.인덱스가 존재하지

2022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

[자료구조] List/ArrayList/LinkedList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 불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는 동적(Dynamic)인 자료구조이다.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배열이 가진 인덱스라는 장점을 버리고 빈틈없는 데이터 적재라는 장점을 취한 것이다.리스트는 순서가 있는 데이터들의 모

2022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

[자료구조] Array

Array는 메모리 상에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배치한 자료구조이다.크기가 정해져 있고, 변경할 수 없는 정적(Static)인 자료구조이다.배열의 크기는 생성하면서 정해지고 변경이 불가능하다.연속적인 공간에 저장을 해야하는데, 이후 공간 사용이 가능한지 알 수

2022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ndroid] LiveData

안드로이드 공식문서에서는 LiveData는 관찰이 가능한 데이터 홀더 클래스이며, 수명주기를 인식한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우선 관찰이 가능하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겠습니다.LiveData의 메서드에는 observe가 있습니다. 이 함수의 두 번째 전달인자를 통해

2022년 2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ndroid] ViewModel

ViewModel은 MVVM패턴에서 등장하였습니다. 이 개념은 앱 개발에서만 한정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View와 Model 사이에서 매개체 역할을 하고, View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ViewModel이라고 합니다.이 글에서 알아볼 ViewModel은

2022년 2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ndroid] Context

Android에서는 Context를 사용하게 됩니다. Context가 필요한 경우에는 Context를 얻어서 사용했습니다. 이런 Context에도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Android Developer 공식 문서의 설명을 보면 다음

2022년 2월 1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hread

프로그램은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input보다 더 빠르게 처리를 합니다. 그렇게 되면 CPU의 사용률이 낮아서 CPU가 낭비가 됩니다. Web Server는 특히 수 백개의 request를 처리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빠른 것도 있지만 느린 것도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2022년 1월 18일
·
0개의 댓글
·

Streams

네트워크 프로그램은 byte를 한 host에서 다른 host로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여기서 byte의 관점에서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client에서 data를 보내는 것은 어떤 file에 data를 쓰는 것과 동일하게 볼 수 있고, server가 보낸 da

2022년 1월 14일
·
0개의 댓글
·

[Android] RecyclerView(3) - DiffUtil

우리는 리스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RecyclerView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리스트의 데이터에 변화가 있으면 notifyDataChanged() 메서드를 사용해서 알리게 됩니다.하지만 notifyDataChanged 메서드는 새로운 item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2022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

[Android] RecyclerView(2) - 여러 view 적용

이전 포스팅에서 RecyclerView와 기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onCreateViewHolder의 파라미터를 살펴보면 viewType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viewType은 무엇이고 왜 사용하게 되는 걸까요?viewType이란?viewTy

2022년 1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ndroid] RecyclerView(1) - 기본 사용법

RecyclerView는 스크롤되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UI 컴포넌트입니다. RecyclerView 이전에는 ListView를 사용하여 리스트를 나타냈습니다.하지만 이런 ListView에는 몇가지 단점이 있었습니다.스크롤 시 버벅임 : ListView는 데이터의

2022년 1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ndroid] AsyncTask란?

AsyncTask 클래스는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비동기 작업을 위해 사용됩니다. UI 스레드에서 수행한다면 UI 스레드가 차단될 수 있는 작업을 비동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UI 스레드에서 전달 받은 데이터를 가지고 원하는 작업을 비동기적으로 실

2021년 12월 8일
·
0개의 댓글
·

OOP의 4가지 특징과 5원칙

Object-Oriented Programming의 줄임말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식1\. 추상화(Abstraction) \- 상세 정보는 무시하고 필요성에 의해 있어야 하는 정보들만 간추려서 구성하는 것 \- 구체적인 사물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파악해서 이를

2021년 12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rapper Class

자바의 자료형은 primitive type(기본 타입)과 reference type(참조 타입)으로 나뉩니다.8개의 기본 타입의 데이터를 객체로 표현하기 위한 클래스가 wrapper class입니다. \- 기본 타입의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해야만 하는 경우에 사용합

2021년 12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ndroid] WorkManager 공부해보기

WorkManager는 개발자를 대신하여 비동기로 백그라운드 작업을 처리합니다. 앱이 종료되거나 기기가 다시 시작되어도 안정적으로 실행이 되는 지연 가능한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데 적합합니다.WorkManager에서 제공하는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작업 수행합니다.

2021년 11월 1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