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단한 명령어들과 터미널 내에서 파일을 수정하고 github에 반영까지 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Shell Command 명령어 | 의미 | 설명 ---|:---:|--- $ cd | change directory | 디렉토리 이동 $ mkdir | mak

리액트 팀 프로젝트 진행시 그리고 인프런 강의에서도 리액트 스타일 라이브러리를 styled-components로 사용을 해야해서 설치를 하려고 시도해보았습니다..VS Code 터미널에서 설치 명령어인 npm install styled-components 를 입력하니 뭔

module bundler 웹개발에 필요한 파일들을 병합+압축 새로운 폴더 생성 후 폴더 안에서 npm init -y 로 시작 다음으로는 webpack 관련 패키지들 설치 npm i -D webpack webpack-cli webpack-dev-server 여기서 -

eslint는 코드를 실행하지 않아도 정적 분석을 통해 문법적 에러를 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prettier는 일관성있는 코드를 작석할 수 있게 포멧화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 eslint & prettier 터미널에 npm i -D eslint 를 입력해

CORS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의 약자로, 직역하면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입니다. 출처가 다른 자원들을 공유한다는 뜻으로 다른 출처의 리소스 공유에 대한 허용/비허용 정책입니다.이때 출처란? 위 URL 구성요소 중에서 Protocol(

주소창에 https://www.naver.com 와 같은 다양한 URL을 검색하면 어떠한 동작 원리로 화면이 보여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브라우저란 웹 브라우저는 HTML과 CSS, JavaScript 언어를 해석하여 내용을 화면에 보여주는 응용 소프

프로젝트 코드의 통일성을 위한 lint-staged와 husky 라이브러리의 설치, 설정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Lint-staged와 Husky는 깃 커밋 전에 eslint와 prettier를 미리 돌려주어 코드를 균일하게 맞춰주고, .husky 파일에

운영체제는 핵심 4가지 기능을 수행:프로세스 관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의 생성, 종료, 스케줄링 관리메모리 관리: 시스템 메모리의 할당과 해제, 가상 메모리 관리하드웨어 관리: CPU, 디스크, 네트워크 등 하드웨어 자원 제어파일시스템 관리: 데이터 저장, 검색, 보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명령문의 집합체저장장치만 사용,수동적애플리케이션이나 앱이라고 부르는것들실행중인 프로그램(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됨)메모리, CPU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입출력 진행(능동적)코드, 데이터, 스택, 힙 영역 존재스택 영역에는 지역변수와

공유 자원 사용으로 여러 프로세스가 서로 자원을 기다리다 무한 대기에 빠져 아무 작업도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상호배제: 한 자원은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 가능비선점: 자원을 강제로 빼앗을 수 없음점유와 대기: 자원을 가진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림원형 대기:

운영체제가 모든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해제 하는 것프로세스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지 않으면 CPU가 효율적으로 쓰이지 못하고, 시스템 전체 성능(응답 속도, 처리율, 자원 활용)이 크게 떨어짐준비 상태와 대기 상태는 큐라는 자료구조로 관리됨프로세스 정보를 담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