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wea / d3 ] 10804. 문자열의 거울상

HYEJIN·2022년 5월 25일
0

SWEA

목록 보기
1/3

10804. 문자열의 거울상

접근법

1) 딕셔너리를 활용하여 대응되는 문자를 담아준다.
{'b': 'd', 'd': 'b', 'q': 'p', 'p': 'q'}

2) 입력값을 리스트로 받아 reverse() 시켜주고,
딕셔너리에 해당하는 key를 value로 바꿔주며 해당 문자를 문자열에 더해나간다.

코드

T = int(input())
for tc in range(1,1+T):
    arr = list(input())
    mirror = {'b':'d', 'd':'b', 'q':'p', 'p':'q'}
    result=''
    arr.reverse()

    for i in arr:
        result += mirror[i]

    print(f"#{tc} {result}")

참고코드

T = int(input())
for tc in range(1,1+T):
    a = input()
    mirror = {'b': 'd', 'd': 'b', 'q': 'p', 'p': 'q'}
    result=''

    for i in range(len(a)-1,-1,-1):
        result += mirror[a[i]]

    print(f"#{tc} {result}")
  • 입력을 리스트로 받지않고 문자열로 받는다.
  • 문자열의 뒤에부터 검사해나가며 result에 값을 저장하는 형태
    >>위의 풀이와는 달리 자동으로 reverse가 된 효과가 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