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it 작성법

Hyunwoo Seo·2022년 8월 22일
0

Git

목록 보기
3/3
post-thumbnail

Commit 작성법 ✨

1. 커밋 메시지 구성

  • Type
  • Subject
  • Body
  • Footer

Message Structure

A commit messages consists of three distinct parts separated by a blank line: the title, an optional body and an optional footer. The layout looks like this:

type: Subject

body

footer

The title consists of the type of the message and subject.

2. 규칙

  • Type
    • feat: 기능 추가/삭제/변경
    • fix: 버그 수정
    • docs: 문서 추가/삭제/변경
    • style: 코드 형식/정렬/주석 등 변경(ex)code formatter 동작 시) - 코드 변경 X
    • refactor: 코드 리팩토링
    • test: 테스트 코드 추가/삭제/변경 - 프로덕션 코드 변경 X
    • chore: 빌드 작업, 패키지 관리자 구성등 - 프로덕션 코드 변경 X
    • env: 환경 셋팅 시 사용(gitignore 셋팅, UI component 셋팅, 테스트 환경 셋팅 등)
    • etc: 위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변경
  • Subject
    • 영문 기준 50 글자 이내로
    • 첫글자는 대문자로
    • 제목 끝에 . 금지
    • 제목은 명령조로
    • 명령조 규칙(많이 사용되는 것만 정리)
      • Add: 코드나 테스트, 예제, 문서 등의 추가가 있을 경우
        • Add A: A를 추가
        • Add A for B: B를 위해 A를 추가
        • Add A to B: B에 A를 추가
      • Make: 기존 동작의 변경을 명시
        • Make A B: A를 B하게 만듬
      • Change: 올바로 동작하지만 변경하고 싶을 경우(UI 수정 등)
        • Change A: A를 변경
        • Change A to B: A를 B로 변경
      • Fix: 올바르지 않은 동작을 고친 경우
        • Fix A: A를 고침
        • Fix A in B: B안에 A를 고침
        • Fix A when B: B상황일 때 A를 고침
      • Remove: 코드 삭제 시
        • Remove A: A를 삭제
        • Remove A from B: B에서 A를 삭제
      • Refactor: 리팩토링 시
        • Refactor A: A를 리팩토링
      • Correct: 주로 문법의 오류나 타입의 변경, 이름 변경 등에 사용
        • Correct A: A를 고침
      • Move: 코드 이동 시
        • Move A to B: A를 B로 옮김
      • Update : 코드보다는 주로 문서나 리소스, 라이브러리등에 사용. (lib 업그레이드, docs 수정등)
        • Update A to B: A를 B로 업데이트
  • Body
    • 제목과 본문 사이에 한줄 비움
    • 영문 기준 72자마다 줄 바꿈
    • 어떻게 보다는 무엇을/왜 변경했는 지
    • optional
  • Footer
    • 이슈 트래커 ID 추가
    • "유형: #이슈번호"
    • 유형
      • Fixes: 이슈 수정중
      • Resolves: 이슈 해결
      • Ref: 참고할 이슈가 있을 때 사용
      • Related to: 해당 커밋에 관련된 이슈번호(아직 해결 x)
    • optional

출처: https://github.com/dngwoodo/TIL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