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13 TIL 상수와 데이터 표현방법

Eddie Choi·2022년 7월 15일
0

C언어에서 다루는 데이터에는 정수, 시룻, 문자, 문자열이 있습니다.

변수 / 상수

정수 상수 = 아라비아숫자 0~9, + / - 사용
정수는 10진수, 8진수, 16진수로 표현한다.

  • 정수는 왜 2진수로 표시하지 않나요?
    = 2진수는 단위 숫자가 0과 1(2개)에 불과해서표현 형태가 길어지므로 사용하기 비효율적이다.

10진수 = 12
8진수 = 014
16진수 = 0xc

세 가지 진법의 정수 상수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d\n", 12);
printf("%d\n", 014);
printf("%d\n", 0xc);

printf("%o\n", 12);
printf("%x\n", 12);
printf("%X\n,", 12);

return 0;

}

결과값
12
12
12
14
c
C

실수 상수 표현법
실수는 소수점 형태와 지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소수점형태로 표현할 때 실수는 아라비아 숫자 0~9, +, - 기호와 소수점을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E,e는 밑수 10을 의미한다.

정규화 표기법(normalization)
지수 형태는 지수 값의 크기에 따라 무수히 많은 바업으로 표현 가능 /
그중 소수점 앞에 0이 아닌 유효 숫자 한 자리를 사용하여 지수 형태로 바꾼 것을 정규화 표기법이라고 한다.

결과값
1000000.0
0.0000314
3.140000e-05
3.14e-05

printf 함수는 기본적으로 소수점 형태로 출력
지수형태로 출력하려면 %le\ 변환문자를 사용한다.

printf("%.1lf\n", 1e6);

= 1e6은 실수형 상수 1000000.0

printf("%.7lf\n", 3.14e-5);
= 0.0000314

profile
hello world. 이제 막 시작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