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란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단위를 의미한다.main
함수는 프로그램의 시작을 의미하며 프로그램에 반드시
있어야 한다./*10과 20을 더하는 프로그램*/
int main(void)
{
10+20; //10과 20을 더한다.
return 0; //프로그램 종료
}
4행부터 9행까지가 main함수이며,
머리(함수 원형)
int main(void)
몸통
{
// 실행 코드
return 0;
}
이렇게 머리 몸통으로 구성되어있다.
머리
에서는 함수의 이름과 필요한 데이터 등을 표시몸통
마지막에는 return
을 넣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줄 짜리 주석을 처리할때 사용
/*~*/ 사이에 있는 모든 내용을 주석처리 할 때 사용한다.
#include <stdio.h> //stdio.h를 불러온다.
int main(void)
{
printf("Be happy"); //문자열을 표기할 때 큰 따움표를 사용해 표기
printf("My friends");
return 0;
}
실행 결과
예상 실제 결과
Be happy =======> Be happyMy friends
My friends
이럴 때는 \n을 사용해 줄바꿈을 해주면 예상 결과 처럼 나오게 된다.
printf("Be happy" \n);
printf("My friends" \n);
백스페이스를 사용해서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
printf("Cow\r W\a\n");
Cow가 출력되면 제어 문자 \r에 의해 벨소리를 내고 제어 문자 \n을 만나 줄이 바뀌게 된다.
\a에 의해 벨소리를 내고 제어 문자 \n을 만나 줄이 바뀌게 된다.
제어문자 | 의미 | 기능 |
---|---|---|
\n | 개행(new line) | 줄을 바꾼다. |
\t | 탭(tab) | 출력 위치를 다음 탭(tab) 위치로 옮긴다. |
\r | 캐이지 리턴(carriage return) | 출력 위치를 줄의 맨 앞으로 옮긴다. |
\b | 백스페이스(backspace) | 출력 위치를 한 칸 왼쪽으로 옮긴다. |
\a | 알럿(alert)경보 | 벨(bell)소리를 낸다. |
출력 데이터 | 사용 예 | 출력 결과 |
---|---|---|
문자열 | printf("Be happy!"); | Be happy! 출력 |
제어 문자 | printf("Be happy\n"); | Be happy 출력 후 줄바꿈 |
정수 | printf("%d",10); | 정수 10 출력(변환 문자 (%d) |
실수 | printf("%lf",3.5); | 실수 3.500000 출력(변환 문자 %lf) |
수식 | printf("%d",10+20); | 10과 20을 더한 30이 출력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