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 - SEO에 관하여

·2024년 6월 22일
0

SEO

목록 보기
1/1
post-thumbnail

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엔진최적화

브라우저별로 최적화 전략을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다.
(구글, 네이버, 다음, edge ...)

각각 브라우저들이 웹 컨텐츠를 인식하는 기준이 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기존에 내가 SEO를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하여

  1. HTML Semantic Tags를 잘 구조화하여 웹페이지를 작성하는 것.
  2. Meta Tags을 이용하여 검색엔진 최적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SEO를 개선, 향상 시키려면?

robots.txt

robots.txt는 웹사이트에 웹 크롤러 같은 로봇들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규약이다. 권고안이라 꼭 지킬 의무는 없다.

크롤러들은 주로 검색엔진들의 인덱싱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웹사이트들 입장에서도 더 많은 검색 노출을 원하는게 일반적이므로 딱히 막을 이유는 없다.
다만 서버의 트래픽이 한정돼있거나 검색엔진에의 노출을 원하지 않는 경우, 이 robots.txt에 “안내문” 형식으로 특정 경로에 대한 크롤링을 자제해 줄 것을 권고하는 것이다. 지킬 의무가 없다고 하나 지켜주는 게 상식

robots.txt를 적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검색엔진 크롤러의 과도한 크롤링 및 요청으로 인한 과부하 방지
    -크롤러의 정보 수집 및 크롤링을 제한함으로써 불필요한 요청을 줄이고, 서버에서 처리해야 하는 요청을 줄여 과부하로 인한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2. 검색엔진 크롤러의 일일 요청 수를 뜻하는 크롤 버짓 (또는 크롤링 예산 – Crawl budget) 낭비 방지
    -검색엔진은 웹사이트에 방문해 정보를 수집할 때 웹사이트의 규모를 포함한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하루에 얼마나 많은 페이지를 방문 및 수집할지 설정한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 500개의 페이지가 있고, 검색엔진이 일간 1,000 건의 요청 수를 보낸다고 한다면, 웹사이트에서 새로운 콘텐츠가 발행되거나, 업데이트가 있었을 경우 반나절이면 검색엔진이 변경사항에 대해 인지를 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만약 robots.txt 파일에서 크게 중요하지 않거나 크롤링되지 말아야 하는 페이지를 지정하지 않는다면, 일일 크롤 버짓이 낭비될 수 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정작 중요한 업데이트 또는 새로운 페이지가 검색엔진 결과에 반영되지 않거나 빠르게 색인되는데 불리할 수 있다.

  3. 검색엔진 크롤러에게 사이트맵 (sitemap.xml)의 위치를 제공하여 웹사이트의 콘텐츠가 검색엔진에게 더 잘 발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구글 서치 콘솔이나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와 같은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해 사이트맵을 검색엔진에 제출할 수 있지만, robots.txt에 사이트맵 디렉토리를 언급함으로써 사이트맵이 구글과 네이버를 포함한 다른 검색 검색엔진 크롤러에게 빠르게 발견될 수 있다.

Meta Tag

HTML의 meta 태그는 SEO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 하나인 robots 메타 태그는 검색 엔진 크롤러에게 특정 페이지를 인덱싱하거나 링크를 따라가지 않도록 지시할 수 있다.

HTML의 robots meta tag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Nofollow" />

이 방법은 SEO에서 흔히 사용되며, 대부분의 주요 검색 엔진이 지원한다.
예를 들어, Google, Bing, Yahoo 같은 주요 검색 엔진은 robots 메타 태그를 인식한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 소유자는 특정 페이지가 검색 결과에 나타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robots 메타 태그는 페이지의 인덱싱과 크롤링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직접적으로 SEO 순위를 개선하는 역할은 아니다. SEO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메타 태그와 다른 SEO 전략을 종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meta 태그를 올바르게 사용하면 검색 엔진 크롤러의 동작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방식으로 검색 결과를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meta 태그는 테크니컬 SEO 기술에 완전히 부합하지 못한다.


테크니컬 SEO

테크니컬 SEO는 검색엔진이 쉽게 크롤링하고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사이트를 구축하는 모든 작업을 의미한다.
테크니컬 SEO, 콘텐츠 전략 그리고 링크의 연결은 서로가 맞물려서 돌아가는 전략이며, 검색 시 높은 순위에서 노출될 수 있도록 돕는다.

테크니컬 SEO의 주요 요소

  1. 사이트 속도 최적화
    페이지 로딩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검색 엔진의 평가를 높입니다.
  2. 모바일 최적화
    반응형 디자인을 사용하여 모든 기기에서 사이트가 잘 보이도록 합니다.
  3. 사이트 구조
    • 논리적이고 쉽게 크롤링할 수 있는 사이트 맵을 구성합니다.
    URL 구조를 간결하고 일관성 있게 유지합니다.
    구조화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검색 엔진이 페이지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대표적인 구조화된 데이터 : JsonLD
  4. 보안
    HTTPS를 사용하여 사이트의 보안을 강화합니다.
  5. 중복 콘텐츠 처리
    • 중복된 콘텐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anonical 태그를 사용합니다.
  6. XML sitemap
    • 검색 엔진 크롤러가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7. robots.txt 파일
    • 크롤러가 어떤 페이지를 크롤링할 수 있는지 지정합니다.

meta tag의 한계

meta 태그는 다음과 같은 여러 SEO 관련 정보를 검색 엔진에 제공할 수 있다.

• Meta Description: 검색 결과에 표시되는 요약 정보를 제공합니다.
• Meta Keywords: 예전에는 중요했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검색 엔진이 무시합니다.
• Robots: 페이지의 인덱싱 및 크롤링을 제어합니다.
• Viewport: 모바일 친화적인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태그입니다.
• Charset: 페이지의 문자 인코딩을 지정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태그만으로는 테크니컬 SEO의 모든 측면을 다룰 수 없다.

meta 태그는 SEO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테크니컬 SEO의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는 못한다.

테크니컬 SEO는 웹사이트의 전반적인 성능, 보안, 구조 및 크롤러 접근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meta 태그와 함께 다른 테크니컬 SEO 기법을 종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alt 속성이나 label 속성도 SEO 개선에 도움이 되나요?

<img src="", alt="" /> 이런 alt 속성 및 aria-label 등은 SEO에 도움되지 않는다.

하지만 웹 접근성에 굉장히 중요한 요소들임에는 분명하다. 차이를 알고있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
- 배움에는 끝이 없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