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System Interconnection Model (OSI Model)
OSI 7계층 모델 "네트워크 7계층" 이다.
들어가기 앞서, window와 mac은 서로 다른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데,
이들을 통신 가능하게 해주는 네트워크 모델이다.
OSI 모델은 아래와 같은 7계층 (7 Layer)로 구성된다.
Application Layer
Presentation Layer
Session Layer ----------------- ⬆️ 3개의 Layer =>Software Layer
Transprot Layer ----------------- ➡️ 중간 계층 (== 전송계층)
Network Layer ----------------- ⬇️ 3개의 Layer =>Hardware Layer
Datalink Layer
Physical Layer
Software
↔️ Transport Layer ↔️ Hardware
)<발신자 기준>
<수신자 기준>
<발신자 기준>
<수신자 기준>
예시 ) Word 파일 something.Doc 실행 => Word 파일 오픈
== 응용프로그렘 레이어 해독 => 오픈
<발신자 기준>
해당 세션 계층은 모든 데이터가 상대방에게 수신되지 않을 때까지 연결을 유지한다.
세션 계층의 주요 작업은 모든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임.
실패와 성공 회신이 오간다.
종단 간 계층이라고도 한다. (End to End)
<발신자 기준>
<수신자 기준>
Data Segment를 Network Layer로 전송
<발신자 기준>
<수신자 기준>
각 데이터 단위 경로 결정을 "패킷(Packet)"이라고 하며, router가 존재하는 OSI 계층이다.
ipv4 및 ipv6 주소 지정은 네트워크에서 수행된다.
=> 해당 계층에서 패킷 형태로 데이터를 Datalink Layer로 전송.
❗️ipv4란?
192.168.2.33
이렇게 생긴 IP 형태
❗️ipv6란?
FDEC : BA98 : 7654 : 3210 : ADFC : BDFF : 2990 : FFFF
이렇게 생긴 IP 형태
<발신자 기준>
<수신자 기준>
== 프록시 모델, 송신자와 수신자를 추가.
사실상 실질적인 논리적 주소 지정 역할을 하는 Layer.
각 패킷의 MAC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두가지 유형의 주소 지정이 있다.1.논리적 주소 지정
- 발신자와 수신자 IP 주소는 데이터 패킷을 형성하기 위해 각 세그먼트에 할당된다.
= 레이어 3주소 지정
- 물리적 주소 지정
- 송신자와 수신자의 MAC 주소가 각 데이터 패킷에 할당되어 프레임을 형성한 다음, 이 프레임을 구리선이나 광섬유와 같은 물리적 매체로 보내는 Physical Layer로 보낸다.
<발신자 기준>
<수신자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