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 dream_todo 에서 넘겨준 props가 undefined으로 뜬다.
왜지?
2) 내가 짠 코드로는 삭제한 다음에 id가 밀린다.
정확히는 내가 결국 배열의 index로 해당 객체를 선택해준 코드를 짠 게 문제.
그래서 해당 id와 같은 배열만 객체내의 속성값을 바꿔주는 문으로 다시 짜야한다.
handleIncrement = (id) => {
const _habits = [...this.state.habits]; //객체 >복사하고 시작
_habits[id - 1].count += 1; //복사한것중 특정요소의 count속성값을 쁠쁠해줘
this.setState({
habits: _habits, // 넣어주는 거구...
});
};
handledecrement = (id) => {
const _habits = [...this.state.habits]; // 전체를 복사하고 시작
const count = _habits[id - 1].count - 1; //그 특정요소의 count 속성값을 -1 해줘. >변수는 쓸준비
_habits[id - 1].count = count > 0 ? count : 0; //전체중에, 특정요소의 속성값에다가 값을 넣을건데, 그 값이 0을 넘었으면, -1을 해주고, 아니면, 그 값에 0을 넣어줘
console.log(_habits[id - 1].count);
this.setState({
habits: _habits,
});
};
1) 1차 팀플 킥오프 :
프로젝트 프로세스 :
1) 위클리 스프린트. 총 2개의 sprint
2) Trello 사용하여 Task 관리
3) 1st Day of Sprint : 플래닝 미팅
4) 에브리 데이 : 데일리 스탠드업
5) 깃헙
피알규칙
1) PR Template 필수 작성
2) 전문적인 commit message필수 (버전관리...기능단위로 잘 커밋하고,,)
3) pr피드백 반영 필수
깃헙 : 선아님. 다민님 참고.
test : npm start 오류 안나고, ui문제 없고
codestyle : 스타일 가이드에 맞춰서 코드작성. 똑같은 컨벤션으로 작성
*깃 리베이스 하는 법....
CoC(code of conduct) 코드오브 컨덕트 : 시간엄수 ( 미팅시간, 각자 맡은 일 제시간에 완성) /책임감(의존, 떠넘기려 하지말자) /팀워크 (노력을 많이한 팀일수록 확실히 팀워크가 조크든요.../도전정신 (쉬운것만 하면 발전 없고, 어려운 것도 하기) (새로운 걸 적용하는 역량)
*월욜 할일 : 플래닝 미팅 / (순백)모델링 구조 시작하기 / (순프)프로젝트 초기화 및 레아아웃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