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푼 방법남들이 한 방법처음에는 그냥 이중배열로 했더니 시간 초과.다른 사람들이 푼 것을 보니 제곱근을 이용해서 시간을 줄임.하나씩 하나씩 하면서 익히자
문제내가 푼 것다른 사람들이 푼 것다른 사람이 푼 것을 보면 score를 복사해서 오름차순으로 ㅈ어렬 후, 나머지 부분을 앞에서부터 잘랐다. 즉, 최소값들 중 m과 필요 없는 부분을 자른 것.그래서 for문으로 돌면서 i를 m만큼 넘기면서 answer에 더한다.이 말은
내가 푼 것남들이 푼 것간단해 보인다.lastIndexOf() 메서드는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 또는 문자열이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인덱스를 반환하는 메서드그래서 string s를 배열로 만든 후 map으로 돌려서 slice를 하는데, index까지 자르면서 그 slice에
내가 푼 방식남이 푼 방식여기서 repeat() 함수는 문자열을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새로운 문자열을 생성하는 메서드이중 배열을 쓰기 싫어서 고민에 고민을 해봤는데 안 되어서 이중배열을 써서 풀었는데 이사람은 아주 간단하네..나도 잘하고 싶다
모달 띄우는 버튼을 클릭 후 그 모달 주위를 클릭하였을 시 모달이 꺼지게 함일단 state에 object 형식의 dummyData를 mapping하여 showMenu를 넣어줌버튼 클릭 시 index가 일치하는 것은 반대 showMenu를 넣어줌으로써 해당 index 정
react-draggable 사용 시 따로 일정 키나 마우스 조작 시 안 움직이게 하는 옵션은 없는 것 같아서 한 조치.addEventListener를 이용하여 아예 shift 자체의 입력이 들어가버리면 state 변화를 줘서 draggable이 움직이지 못하게 만듬.
box-sizing: border-box를 넣었는데 여기에 left에 border 3px를 넣었더니 text는 밀림.그래서 중첩으로 쌓아야 됨.코드
3D 회전, 표준편차, git release 등의 세미나를 회사에서 들은 날이다.3D 회전 같은 경우는 내가 너무 수알못이라서 그런지 기본적인 부호부터 모르는 부호에다가 행렬을 써서 돌리는 이유 등 너무 어려운지라 멘탈 나감..그 뒤에 것들은 이해가 좀 되서 여기에 기
이 글은 회사에서 세미나를 하기 위해 쓴 글로 다양한 블로그를 보고 참고해서 썻기 때문에 많은 비슷한 점이 있습니다. 이 글보다는 밑에 tag에 달아놓은 글을 보시는 것이 더욱 자세할 수 있습니다.eslint와 prettier는 javascript로 개발을 할 때 우리
프로젝트 진행 중 useRef의 변화가 한 박자 늦게 변화가 감지되어 실시간으로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useRef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즉, 설정한 해당 Element의 크기 변화를 관찰하는 것.해당 element의 크기가 변화가 생기는 순간을
프로젝트를 하던 도중 setState를 modal component에 전달을 하였으나 setState is not a function이라는 오류가 발견.이유를 한참 해메던 중 관련이 있는 component에서 랜더링이 일어날 경우 오류가 난다.무슨 이야기냐 하면 con
Three.js tutorial Three.js는 웹페이지에서 3D 콘텐츠를 최개한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3D 라이브러리이다. 위 구조를 Renderer라고 한다. 이 구조는 three.js의 main object라고 생각하면 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Sce
JSON.stringify() 메서드는 JavaScript 값이나 객체를 JSON 문자열로 변환한다. 나같은 경우는 배열 안에 문자들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였다.